썰물밀물

올해 초 노동자작업복 전용 세탁소가 생긴다는 소식을 처음 접했을 때 든 생각은 '참신한 걸!'이었다. 땀과 기름때에 절고, 유해화학물질 범벅인 작업복을 깨끗한 옷으로 되돌려 받는 상쾌한 기분은 상상만으로도 유쾌했다. 정보를 좀 더 찾아보니 2~3년 전부터 전국 지자체 곳곳에서 이 같은 공동세탁소 문을 열었거나 준비 중이었다. 그렇다 해도 경기도가 작업복 세탁소 설립에 나선 건 박수 받을 일이다. 누가 먼저냐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대부분의 회사는 작업복을 1년에 1~2차례 지급하기만 했지 세탁은 개인의 책임으로 넘기는 관행을 유지해왔다. 치명적인 독극물이 아닌 한 유해물질 얼룩은 노동자가 집에 가져가 스스로 해결법을 찾는 게 보통이다. 세탁소에 보내자니 부담이 만만찮고 집에서 빨거나 세탁하는 건 어려움이 매우 많다. 블루칼라 노동자도 산뜻한 작업복을 입을 권리가 있지만, 현실 현장노동자는 누추하고 꾀죄죄한 작업복으로 견뎌내는 이유다. 한 벌 1000~2000원에 처리해주는 전용 세탁소가 그래서 반갑다.

경기도가 설립한 '안산 블루밍 세탁소'는 지난 7월12일 안산 스마트허브 내 건물에서 문을 열었다. '블루밍'이라는 이름은 공모를 통해 결정됐다. '블루칼라'의 블루와 '꽃 같은'을 뜻하는 '블루밍(blooming)'을 포갠 작명이라 한다. 깨끗한 작업복으로 노동자들을 활짝 핀 꽃으로 만들어주고 싶다는 의미일 터이다. 한국노총 안산지역지부는 지난달 27일 블루밍 세탁소가 흥하기를 기원하며 재봉틀 1대를 기증했다.

10여 년 전 친분이 있는 정신과 의사 한 분이 동네에 세탁전문점을 연 적이 있다. 세탁소 직원은 모두 정신장애인이었다. 의사 선생에게 들어보니, 비장애인들의 편견과 달리 정신장애인도 특정 업무는 꼼꼼하고 정확하게 처리한다고 한다. 정신장애인이 통합적으로 사회에 복귀하려면 직업이 필요한데, 세탁 관련 업무가 적합하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이런 노력과 시도들이 쌓인 덕분에 장애인들의 직업 영역이 아주 느리지만 조금씩 넓어져 왔다. 안산 블루밍 세탁소도 경기도 장애인복지회 안산지부가 위탁 운영한다. 블루밍 세탁소가 흥해야 할 또 하나의 이유다.

경기도는 오는 10월 시흥에 '블루밍 세탁소' 2호점을 열 예정이다. 공업단지가 안산과 시흥에 걸쳐 있으므로 그 도시에도 작업복 전용 세탁소가 필요할 터이다. 두 곳에 노동자들의 호평이 쏟아져서, 내년에는 경기도 남북 곳곳에 3호점, 4호점, n호점이 잇따라 문을 연다는 소식이 들려오기를 기대한다.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양훈도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팥죽땀 노동 아침에 눈을 뜨면 뉴스보다 날씨를 먼저 검색하게 되는 요즈음이다. 폭우가 어느 정도 지나갔다 싶으니 온도부터 살핀다. 스마트폰이 예보하기를 8월 들어서면 최고기온이 33도로 치솟고 열대야도 이어지리라 한다. 말복(8월10일)이 지나면 나아질까 아니면 광복절? 어쩌면 늦더위가 기승을 부려 8월 말까지도 찜통더위가 이어질 가능성이 없지 않다. 해마다 찾아오는 더위지만 사람들은 언제나 올여름이 가장 덥다고 한다.지난 6월19일 코스트코 하남점에서 주차장 쇼핑카트 정리 업무를 하던 30대 초반 노동자가 숨졌다. 최고기온 35도 날씨에 하루 [썰물밀물] '체계적 영유아살해' 지난 6월21일 수원의 한 아파트에서 영아 시신을 냉장고에 몇 년째 보관 중인 사실이 밝혀졌다. 친모는 생활고 때문에 2018년과 2019년 자신이 낳은 아이 둘을 살해해 냉동실에 넣어두었다고 진술했다. 이 엽기적인 사건에 온 사회가 분노했다. 검찰은 친모를 영아살해죄로 구속한 뒤 살인죄로 송치했고, 국회는 몇 년이나 끌던 '출생통보제' 관련 법률을 부랴부랴 통과시켰다. 수원만이 아니라 여기저기서 유사한 영아살해 의혹도 제기됐다.감사원이 밝힌 바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2년 사이 병원 출생기록은 있으나 출생신고 [썰물밀물] 도로와 권력 2011년 가을 중부고속도로 남이천IC(나들목) 건설을 두고 특혜의혹이 일었다. 2004년부터 5년여 동안 경제적 타당성이 없다며 번번이 거부되던 나들목이 2010년 들어 갑자기 설치 쪽으로 방향을 틀었기 때문이다. 나들목을 원했던 주민들은 반겼지만, 비판적으로 보는 측에서는 가만히 있지 않았다. 이 나들목이 생기면 이명박 당시 대통령 일가의 선영이 가까워지고, 대통령 형들(이상득, 이상은)이 관계된 목장이 고속도로 덕을 크게 볼 수도 있다는 점을 짚었다. 집권 초부터 만사가 형을 통해 이뤄진다는 신조어 '만사형통(萬事兄通) [썰물밀물] 휴전선 육백리 한국인에게 휴전선 길이를 물어보면 대체로 155마일(248㎞)이라고 답한다. 하지만 실측 길이는 약 241㎞다. 어째서 7㎞나 오차가 난 걸까. 1952년 당시 변영태 외무장관이 유엔 기자회견에서 “휴전선 155마일에 걸쳐 유엔군이 공산군과 맞서고 있다”고 언급했고, 이게 그냥 굳어졌다. 정전협정이 성립되기 전에는 '248㎞ 플러스마이너스 알파'에 걸쳐 전선이 형성되어 밀고 밀렸으므로, 변 장관이 틀린 게 아니다. 이후 70년간 별 확인 없이 155마일 운운해온 게 부끄러울 따름이다. 군가 가사처럼 '휴전선 6 [썰물밀물] '빙하 장례식'과 '흰죽' 시인이 골목 어귀에 붙은 오래된 포스터 한 장을 오래 들여다보았다. 광활한 설원, 발목까지 덮는 눈길을 한 사내가 포스터 속에서 걷고 있었다. 눈 속에 파묻힌 사내의 발이 시리고 아파 보였다. 아니, 시인의 발이 아파왔다. 시인이 집에 돌아 와 신발을 벗는데 피가 비쳤다. 발을 씻으며 아무리 살펴봐도 상처가 없었다. “오직 한 생각으로 먼 설원을 건너가다 보면// 가도 가도 없는 사랑을 앓듯, 상처 없이 피가 나오는 날도 있었다.” (이덕규 시인의 시 '상처 없이 피가 나오는 날도 있었다'의 마지막 두 연.)이 시가 [썰물밀물] 화성시 융·건릉 외금양계비 조선시대 대표적인 산림보호정책은 금표(禁標)를 세우는 일이었다. 나무, 특히 소나무를 함부로 베어내지 못하도록 산 곳곳에 금표를 세웠다. 금표 안쪽에서 벌목하거나, 농사를 짓거나, 방목하는 일은 엄격히 금지되었고, 쓰레기를 함부로 내다 버려도 안 되었다. 정조 임금 때에 강화에 세워진 금표에는 '가축을 놓아 기르는 자 곤장 100대, 재를 버리는 자 곤장 80대'라는 중벌이 명기되어 있다. 지은 죄에 비해 벌이 매우 무거워 보인다.왕릉 주변은 훨씬 더 엄격하게 보호되었다. 일반 백성이 감히 왕릉 주변을 훼손할 일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