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군대 시절 인천에서 왔다고 하면 고참들은 먼저 '짠물'이란 별명을 붙여줬다. 아마 인천이 천일염 주 생산지로 이름을 널리 알려서이리라. 곧 이어 노래 '일발장전'이 터져 나오기 일쑤였다. 노래 제목은 바로 '인천의 성냥공장 아가씨'. 인천인이라면 당연히 알고 있다는 듯이 재촉했다. “인천의 성냥공장 성냥공장 아가씨/하루에 한 갑 두 갑 낱갑이 열두 갑/치마 밑에 감추어서 정문을 나설 때/치마 밑에 불이 붙어∼(후략)” 민망한 가사 내용임에도 군대 용어로 '까라면 까' 식이었다.

'인천의 성냥공장 아가씨'는 1960~1980년대 군대에서 주로 불린 구전 노래다. 그 유래는 가사에 나온 대로 인천의 성냥공장이다. 1917년 일본 기업이 제물포에 성냥공장을 세우기 시작하면서 인천은 마치 '성냥공장의 대명사'처럼 불렸다. 당시 성냥공장은 위험한 화학물질인 인을 취급한 탓에, 경성보다는 원료 수입이 편리한 인천에 세워졌다. 일제 강점기부터 해방 후 1960년대까지는 성냥 한 갑이 쌀 한 되에 맞먹을 정도로 고가품이었다. 그렇다 보니 성냥공장에서 성냥 한두 갑을 빼돌려 암시장에 내다팔면, 쏠쏠한 돈벌이로 취급됐다고 한다.

1917년 설립해 국내 첫 성냥공장으로 알려진 동구 금곡동 조선인촌주식회사가 '최초'로 보기엔 무리라는 지적을 받는다. 이보다 32년 먼저 서울 용산에서 문을 연 성냥공장이 있다는 주장이 나와서다. 조선 말 정부의 특허장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는 설명이다. 김성수 인천공항본부세관 과장은 최근 “개항기 우리나라 최초의 성냥공장이 인천에 설립됐다는 그동안의 설은 틀렸다”며 근거 사료들을 최근 인천일보에 공개했다.

이 중 눈에 띄는 자료는 조선 후기 외교·통상사무를 관장한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서 1885년 9월3일 용산에 성냥공장 설립을 허가하는 내용을 담은 특허장이다. 한 외국인 상인이 용산에 유리를 제조하는 기업을 추진했다가 어그러진 뒤, 그 자리에 성냥공장을 지었다고 한다.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은 그에게 소정의 세금납부와 1년 내 사업개시란 조건을 달아 특허를 내줬다. 용산 공장 성냥은 가격과 품질 면에서 낮아 고전했으나, 제품을 판매하며 실제로 수출까지 했다고 전해진다.

성냥은 1827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발명됐다. 1886년 제물포에 들어선 독일 세창양행 무역상사가 성냥을 수입해 팔았고, 1917년 10월엔 국내 최초의 성냥공장이 금곡동에서 문을 열었다는 게 학계 정설이었다. 아무렴 어떤가. '인천 최초'에서 성냥공장 하나쯤 빠졌다고 대수랴. 그래도 철저한 고증과 연구를 통해 '사실'을 밝혀야 할 듯싶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다시 열린 인천~중국 바닷길 인천은 예부터 중국과의 교역 중심 도시다. 능허대(凌虛臺·연수구 옥련동)만 해도 인천∼중국 간 교류가 활발했음을 알려준다. 능허대는 삼국시대 중국을 오갈 때 이용하던 나루터다. 백제 근초고왕 시절 사신과 무역상 등이 출발하던 곳이다. 이들은 인천~덕적도~중국 산둥반도에 이르는 '등주항로'란 뱃길을 다녔다. 한·중카페리 최초 항로(인천~웨이하이)와 비슷한 경로를 매우 오래 전에도 이용한 셈이다. '능허대 터'는 인천시 기념물 제8호로 지정된 상태다.능허대 이후 오랫동안 끊겼던 인천∼중국 해상 교역은 188 [썰물밀물] 인천 생태 하천의 지속가능성 지난달 장마에 따른 집중호우로 많은 인명·재산피해를 냈다. 하천 범람과 산사태 등으로 피해를 키웠다. 하천은 강과 시내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국내 거의 모든 자치단체에 존재한다. 법률로는 관리주체에 따라 국가·지방하천으로 구별한다. 인천엔 30여 군데의 하천이 있지만, 하나 같이 '하천'답지 않다는 게 정설이다. 그래도 지난 폭우에서 보듯, 하천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인천에선 나름 하천을 가꾸느라 분주하다. 실례로 부평구는 굴포천 생태 하천 복원사업 1단계를 곧 마무리하고 2단계에 착수한다. 부평구청부터 부평1동 행 [썰물밀물] '인천 5·3민주항쟁' 법적 지위에 부쳐 '인천 5·3민주항쟁'이 인천 민주화 운동의 상징처럼 여겨진 지 오래다. 서슬 퍼렇던 군부독재 시절, 민주쟁취를 위해 구름 같이 모인 군중이 집회를 펼쳐서다. 그 성과는 정말 대단했다. 6월 민주항쟁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 등으로 이어지며 우리 현대사에서 굵직한 족적을 남겼다. 그럼에도 5·3민주항쟁이 관련법에 명시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이렇다 할 대접을 받지 못한 채 엉거주춤한 상태로 있었다.그 민주항쟁이 마침내 37년 만에 '법적 지위'를 얻어 관심을 모은다. 그동안 여러 갈래로 입법을 추진했지만, 무슨 [썰물밀물] '연안부두' 노래의 재해석 “어쩌다 한번 오는 저 배는/무슨 사연 싣고 오길래/오는 사람 가는 사람/마음마다 설레게 하나/부두에 꿈을 두고 떠나는 배야/갈매기 우는 마음 너는 알겠지/말해다오 말해다오 연안부두 떠나는 배야/절바람이 불면 파도가 울고/배 떠나면 나도 운단다/안개 속에 가물가물/정든 사람 손을 흔드네/저무는 연안부두 외로운 불빛/홀로 선 이 마음을 달래주는데∼(후렴)”'연안부두'란 노래다. 인천인들의 애창곡이다. 조운파 작사·안치행 작곡에 김트리오가 불러 1979년 탄생했다. 인천의 연안부두를 소재로 했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사랑을 [썰물밀물] '돈 바람' 불던 연평바다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불어. 연평바다에 어허얼사 돈 바람 분다∼” 경기민요 '군밤타령'의 첫머리 가사를 바꿔 부른 곡이다. 군밤을 주제로 한 노래인데, 뜬금없이 '돈 바람'을 얘기할 만큼 연평도가 호시절을 구가했음을 노래한다. 연평도는 1960년대까지 조기잡이 황금어장이었다. 4~6월 조기철이면 파시가 열려 선원 수만 명이 몰려왔다. 엄청난 현금을 주고받으며 '돈주머니를 베고 자고, 강아지도 지폐를 물고 돌아다닌다'는 말이 나돌 정도로 북새통을 이뤘다고 한다. 1960년대 초등학교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