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 '신간'

[1년 365일 주요 사건]
루이 암스트롱의 새해
서태지와 아이들 데뷔
한성 임시정부 수립 '선포'
스페인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 국립묘역안장
사라진 '동인도 회사'
제임스 어셔 주장 '지구 탄생일'
당신을 위한 책 한 권
▲ 하루교양도서 (나와 세계를 잇는 생활 습관) 전성원 지음 유유 1112쪽, 3만4200원

“몰라도 된다. 검색하면 되니까.”

난 검색에 '잼뱅이'이다. 그러나 녹색창에 '잼뱅이'를 입력하면 어느 지방 사투리의 짧은 홑바지라 설명한다. 녹색 창의 검색은 맞지만, 내가 찾는 검색은 아니다. 난 손을 뜻하는 '잼'과 비하적 표현의 '뱅이'가 합쳐졌다는 말뜻을 알고 싶었다.

그런 거다. 지식의 속성은, 알려주고 싶은 것만 알려주는 거다. 지식은 사실이 아니다. 진실은 더더욱 아니다. 그렇게 정체된 과거의 지식은 오늘의 지식이 될 수 없고, 내일은 쓸모없어 진다. 지식은 시대에 맞게 끊임없이 성찰해야 한다.

황해문화는 말라버린 인천 출판 문화에 희망이다. 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은 1996년부터 이 계간지의 몸통이다. 깡깡한 겉모습에서 뿌리내린 황해문화의 튼튼함을 느끼게 하고, 섬세하고 사려 깊은 말과 행동을 통해 황해문화의 고민과 내용의 성숙함을 엿볼 수 있다. 그가 쓴 <길 위의 독서>와 <누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가>를 이미 읽은 후라, 다음 책을 기다렸다. 몇 달 전 그의 책 <하루 교양 독서(나와 세계를 잇는 생활습관)>가 출판됐다는 소식을 접했지만, 삶의 여유를 뺏긴 터라 쉽게 손이 가지 않았다. 내일, 내일, 미루다 겨우 만나게 됐다.

인류가 탄생했고, 역사를 기록한 이후부터 1년 365일(물론 윤달이 있는 해를 다르다) 중 하루라도 편한 날이 있었을까. 매일 수천, 수만가지 사연과 사건이 켜켜이 쌓이지만 잊히던가 지워진다. 그런 무수한 사건에서 하루씩 추려내 365일을 써내려간다는 것은 정말 귀한 일이다. 생각이 사시나무 떨듯 하는 사람이 역사를 건들면 절대 안 된다.

전 편집장은 “역사는 시간적으로 과거의 사건이 오늘 그리고 내일에 영향을 주면서 지속적으로 변한다”라 말했다. 또 역사학자 칼 베커의 말을 통해 “역사란 객관적 사실을 서술하는 작업이 아니라 역사적 사건에 대한 현재적 해석이고 현재적 평가”로 표현했다. '점'에 머문 '역사'가 아닌 인과관계를 찾아 '선'으로 확장하고, 이를 현재적 의미를 더해 '면'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어릴 때 <한 잎의 여자>란 시집을 접한 후 시인과의 대화를 상상했고, 김현의 <행복한 책 읽기>를 통해 유쾌하지만 처절한 지성인의 성찰을 동경했다. <하루 교양 독서>의 들어가는 말인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 두 거인이 등장하며 (사심이지만) 난 이미 책에 매료됐다.

이 책은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그날 일어난 여러 사건 중 한 가지를 짚어내 365가지 일화로 엮였다. 또 달마다 영어식 이름을 갖게 된 이유를 알려준다.

이렇게 1월1일 커다른 변화의 첫걸음으로 '루이 암스트롱의 새해'가 택해졌고,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인 영국이 12월31일 세웠지만 '해가 기운' 영국의 앞날을 엿보듯 사라진 동인도회사로 끝맺는다. 또 책 말미에 365가지 일화를 시간순으로 정렬시켜 역사의 흐름을 이해시켰다. 기원전 4004년 '제임스 어셔가 주장한 지구 탄생일'(10월22일)로 시작해 1919년 4월23일 홍진 선생 주축으로 만국공원(현 자유공원)에서 이뤄진 '한성 임시정부 수립 선포'와 1992년 4월11일 '서태지와 아이들 데뷔'를 지나 2019년 10월24일 '스페인의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 국립묘역에서 안장'으로 끝이 난다.

이미 책을 접한 독자들은 1000페이지가 넘는 <하루 교양 독서>(두꺼운 책은 벽돌책이라 불린다)에 대해 관심 분야는 '꼼꼼한 읽기'로, 그렇지 않은 부분은 '가벼운 읽기'로 슬기롭게 읽어내고 있다. 북펀드 독자 명단도 빼곡히 적혀 있다. 이 책은 머릿속에 편린이 돼 꿰이지 못한 각종 지식들을 일목요연하게 만들어 주는 묘한 매력이 있다. 지식에 목마른자, 지혜롭게 역사를 살피고자 하는 자라면 <하루 교양 독서>가 딱이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당신을 위한 책 한 권] 아이, 로봇 아이작 아시모프는 천재임이 분명하다.성찰할 수 없는 인간의 한계를 로봇이란 영역으로 확대한 그의 상상력은 놀랍기보다 경이롭다.처음 접한 볼테스V와 라이터군단으로 시작해 건담 시리즈와 마크로스. 그리고 공각기동대와 에반게리온을 보며 단순한 로봇 패싸움 영역을 넘어 로봇과 인간의 관계, 인간의 탐욕이 빚은 로봇의 폭주 등으로 걱정이 많았다. 머리가 굵어지며 사람 냄새나는 과거와 현실로 돌아왔지만, 여전히 가장 좋아하는 로봇 캐릭터는 스타워즈의 R2-D2이다.차에 탄 남자와 소녀가 물에 빠졌다. 그 옆을 지나던 인간형 로봇이 망설임 없이 [당신을 위한 책 한 권] 베르베르씨, 오늘은 뭘 쓰세요? <베르베르씨, 오늘은 뭘 쓰세요?>를 읽으며 머릿속 어딘가에 방치해뒀던 상념, 잡념 등을 다시금 끄집어냈다.베스트셀러 작가 베르베르는 어느새 원로 작가가 됐다.이 책은 타로카드 아르카나(Major Arcana) 22장을 통해 베르베르의 삶을 관통하는 자서전으로, 숫자 혹은 22의 '바보'로 시작해 21번째 '세계'로 끝난다.5살 아버지가 들려주던 그리스신화와 세상 여러 나라의 이야기, 어머니가 손에 쥐여준 크레파스는 베르베르를 책 세상으로 이끈다.신문기자 출신 베르베르. 이 경험은 퍽 고약하다. 정규직이 [당신을 위한 책 한 권] 구도 인천 인천 프로야구는 1982년 시작된다. 전두환 정권은 '3S 정책'을 통한 정국 안정화에 나섰고 그때 프로야구가 탄생했다는 게 정설이다. 지난해 프로야구 40년을 맞아 당시 인천일보 탐사보도부에서 활동한 이은경·이순민·이아진 기자가 인천 프로야구사를 써내려갔다.전국의 이름난 도시는 대부분 '구도'라는 수식어를 붙인다. 각 지역의 자존심을 가슴에 담은 야구는 지역을 상징하는 종목으로 자리잡았다.인천 또한 개항 후 밖으로부터(아직 인천에서 누가 야구를 처음 접했고, 야구라는 명칭이 언제부터 쓰이기 시작했는지 [당신을 위한 책 한 권] 동조자 “나는 스파이, 고정간첩, CIA 비밀 요원, 두 얼굴의 남자입니다.”이처럼 명쾌한 시작이 있을까. 이 한 문장으로 700여쪽에 달하는 이 책의 모든 걸 설명할 수 있다.<동조자>는 주인공 '나'와 주변 인물이 뱉어내는 무수히 날선(혹은 설익은) 대사와 비아냥이 섞인 말투가 엉키고 설켜 있다. 저자 비엣 타인 응우옌은 미국인이다. 아니 '베트남계 미국인'이다.책은 남베트남의 수도 사이공이 함락되는 막바지 베트남 전쟁(이 책에 따르면 베트남에서는 이를 미국 전쟁이라 부른다.) 때인 1975년 4월로 시작한 [당신을 위한 책 한 권] 빛 혹은 그림자 언제였을까.'밤을 새우는 사람들(1942)'을 접했을 때 붕 뜬 내게 뭔가를 얹은 듯 고요하고 삭막했다.불 꺼진 거리에 빛을 품은 식당. 꽤 늦은 시간일 텐데 등 돌린 한 남자는 식당에 앉아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맞은편 두 남녀는 꽤 진지한 듯 보이지만 어딘지 불안감이 느껴진다. 식당 주인은 두 남녀와 대화를 나누지만, 손의 움직임과 시선은 엇갈린다. 그 언제부터 지금껏 에드워드 호퍼 작품을 한 점씩 찾아봤고, 어딘지 어색한 도시인이 안쓰럽게 느껴졌다. <빛 혹은 그림자>는 독특한 책이다.이 책은 로런스 블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