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한 노인 돌봄제도·재원 기준 불명확 구조

지역 특성 고려 없이 지자체 부담만
의료급여와 겹칠땐 비용 100% 전가
장기요양 복지비 기하급수적 상승

경기도 재가급여는 10%뿐…시설도 줄여
정부도 가이드라인 조차 없어 갈등 유발

경기지역 장기요양 복지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원인에는 부실한 노인 돌봄 제도가 자리하고 있다. 지역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제시하는 가이드라인마저 없어 광역, 기초단체 간 갈등까지 유발되고 있다.

6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노인 장기요양 급여와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급여는 80~85% 수준으로 국비 보조가 정해져 있다. 복지를 보장해야 하는 계층은 정부의 주도적인 지원이 시스템화돼 있는 셈이다.

하지만 기초생활수급·의료급여를 받는 대상이 장기요양 혜택까지 받을 경우 정부 부담은 쏙 빠지고 100% 지방자치단체로 방향이 틀어진다. 이는 현행법 내 '예외조항' 탓이다. ▶표 참조

노인장기 요양보험법은 국가가 각종 사업 비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했는데, 반면 같은 법 시행령 28조는 '의료급여를 받는 사람(기초생활수급자·이재민·국가유공자·탈북민 등)에 대한 비용'을 별도로 분리해서 '지방자치단체 부담'이라 명시하고 있다.

물론, 복지는 국가만 아니라 지자체 책무이기도 해 비용을 부담하는 것 자체만으로 잘못됐다고 꼬집기 어렵다. 다만 법이 현장 특성을 고려한 기준을 단 한 가지도 두고 있지 않고, 단순하게 지자체로 부담만 주고 있다는 게 문제다.

법적으로 장기요양 시설에 입소자는 주소를 시설 소재지로 옮겨야 한다. 만약 서울에 살던 기초생활수급자가 경기도 시설로 찾아오면 해당 지자체가 월 20∼30만원의 생계급여비용도 부담해야 한다.

결국, 지금 도내 일부 지역이 겪고 있는 상황처럼 서울권 대상자 진입 등의 수요가 몰리게 되면 예산 초과나 타 복지사업 축소 등 부작용이 터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예산 편성기준 역시 국가가 정한 별도의 설계가 없다 보니 지자체 간 균형이 맞지 않는다.

정부는 장기요양 예산 분담비율을 지방이 조례를 통해 정하게 해왔다. 이에 경기도는 예산 중 상당 부분을 기초단체에 매칭시킨 반면, 서울시는 100% 광역이 전액 부담하고 있다.

오현태 한국주야간보호협회 회장은 “기초생활수급 생계·의료급여과 마찬가지로 지원이 필요한 요양급여는 국비가 1%도 없어 지자체 부담이 높은 것이 사실”이라며 “노인 장기요양 서비스 질 보장은 안정적인 재원이 뒷받침하는 것이다. 장기요양이 대한민국 5대 사회보험 중 하나인 만큼, 보험 체계를 어떻게 강화하는지에 대한 논의도 시급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일부 지자체 사이에서는 도의 방침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됐다.

도는 지방보조금 예산의 편성·집행 방식을 근거한 '지방보조금 관리 조례'에서 보건·사회 분야 도비 기준보조율을 30~70%로 설정했지만, 장기요양 재가급여는 10%만 부담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조례와 달리 장기요양에서 최소 20%의 책임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내 한 지자체 관계자는 “기준보조율 범위가 규칙으로 정해져 있음에도 도는 이를 적용하지 않아 재가급여 부담이 90% 쏠리고 있다”며 “원칙을 지키긴커녕 도비 70%, 시비 30%였던 시설급여 분담을 2018년 이후 50%대 50%로 변경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다른 지자체 관계자는 “서울시는 자치구의 재정자립도나 수요 등 지표를 고려해 예산 보조율을 차등 설정하는 제도를 두고 있다"며 "정부와 도 방침에 기초단체만 힘들다”고 토로했다.

/김현우·최인규·정해림 기자 kimhw@incheonilbo.com



관련기사
[위기의 노인돌봄] (중) 수천억 떠안은 지자체…"정부 복지 책임 늘려야" 경기도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서울권 수요까지 책임지는 노인 돌봄 탓에 과도한 '복지재정' 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다른 복지비용까지 쪼개서 비용을 충당하는 등 재정난에 허덕이는 처지다.6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장기요양시설(노인요양·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등) 이용자 1명당 매달 지급되는 급여는 약 176만~245만원으로 책정돼있다. 1부터 5급까지 나눠진 판정등급마다 금액에 차이를 둔다.앞서 정부는 2008년 7월 이후 노인 돌봄을 국가가 보장하도록 지원 근거 등 각종 대책을 마련한 바 있다.비용은 관련 법에 따라 국비로 [위기의 노인 돌봄] (하) '지정제' 2년 앞 …경기도 시설 상당수 '위태' 경기지역에서 우후죽순 지어진 장기요양시설 상당수가 위태롭다.개정 법령을 적용받는 시기가 2년여 앞으로 다가왔는데, 110여개 시설은 운영 안정도가 낮아 설립을 허가받은 게 무더기 취소될 위기다. 경기도가 노인 인구 유입, 시설 규모가 가장 큰 만큼 대책이 시급하다.7일 국민건강보험 등에 따르면 2019년 12월 보건복지부는 장기요양시설 설립 요건을 강화하고, 설립하더라도 재심사를 받도록 하는 '지정갱신제도'를 도입했다.제도에서 말하는 설립 요건이란 시설 설립 신청자의 과거 행정제재 처분 내용, 급여제공 이력, 운영 계 [위기의 노인 돌봄] (하) 개선 요구 7년째…답 없는 정부·정치권 복지 재원이 한계에 봉착한 경기지역 노인 돌봄에 대해 지방자치단체와 시민사회단체가 제도 개선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수년째 높이고 있지만 정부와 정치권의 대책은 아직도 깜깜무소식이다. 그 사이 각 지자체의 재정부담액은 매년 최고치를 갱신 중이다.7일 경기지역 장기요양 단체에 따르면 도는 2016년 이후 시·군 협력회의 등을 통해 '장기요양 국고보조금 체계 전환'을 해결 과제로 도출해 수차례 정부에 제도 개선을 건의했다. 이 당시 도내 장기요양시설은 매년 수십개, 대상 노인은 수천명씩 늘어나는 추세였다.도는 기초생활수급·의 늘어나는 노인돌봄 비용…대책 절실 경기도 기초자치단체들이 부담하는 노인 장기요양급여액이 5년 새 3배가량 급증했지만, 관련 대책은 제자리걸음이다. 시·군에서는 도비 확대가 필요하다고 보지만, 도는 국비 확대를 추진하는 '동상이몽'식의 대응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뒷짐만 지고 있다. <인천일보 6월5일·7일·8일 [위기의 노인돌봄] 기획기사 1·3면 보도>6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31개 시·군의 장기요양급여 부담 총액은 2019년 1411억8584만원, 2020년 1666억2979만원, 2021년 3342억6145만원, 2022년 3685억8 경기지역 요양보호사 처우 개선, 예산 확보 과제 경기지역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0만명을 돌파하면서 '요양보호사 처우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경기도는 대상자 규모가 전국 1위에 달하는 광역자치단체인 만큼, 막대한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돼 관련 사업 추진이 쉽지 않다.<인천일보 6월5일·7일·8일자 [위기의 노인돌봄] 기획기사 1·3면, 8월7일자 1·3면>23일 인천일보 취재 결과, 도와 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최근 요양보호사 처우와 노동 환경을 개선할 방안을 조사하고 있다. 요양보호사는 치매·중풍 등 질환을 앓거나 일상생활이 어려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