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한 인천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준한 인천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이준한 인천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재외동포청은 인천에 둬야 한다. 대한민국 근대 이민사의 출발지로서의 상징성, 현재 관문도시로서의 우수한 입지와 교통 편의성, 재외동포 사회와 함께 초일류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미래 발전성 등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제주는 재외동포재단이 제주에 있었기에 재외동포청으로 승격된 뒤에도 남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광주는 고려인 4000여 명이 거주한다는 이유로, 세종은 정부청사가 있어서, 대전은 재외동포청이 청 단위이기 때문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외교부는 사용자 접근성을 고려해 광화문 청사 근처로 가져가겠다고 언론에 흘렸다. 외교부와 타 지자체의 주장은 공통으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주기보다는 행정적인 편의성만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매우 뚜렷하다.

지금까지 인천시는 사전 작업을 잘했다. 이제 시민이 나서야 할 때다. 아니 시민이 나서지 않는다면 결실을 보기 어렵다.

최근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를 위한 시민운동본부가 조직되면서 온라인 서명운동이 시작됐다. 인천의 주요 지하철역과 마트, 인천대공원 등지에서 서명운동도 벌일 예정이다. 서명이 고작 만 명 단위에 그치면 오히려 인천에 지지가 적다고 보이기 때문에 최소한 수십만 명의 서명은 확보돼야 한다. 그리고 6일 출범하는 시민운동본부에도 이념을 떠나 인천의 모든 시민사회단체가 한마음으로 모여야 할 것이다. 겨우 30여 개 단체가 모여서는 불충분하다는 말이다.

결코 시간이 많이 남은 것도 아니다. 6월 초에는 재외동포청을 개청해야 한다. 관련 부처는 3월 안에 재외동포청을 어디에 둘 것인지 결정하는데 이 과정에 공모절차는 없다. 인천은 뛰어난 입지 조건을 갖추고 200명 규모의 재외동포청 직원을 두세 달 안에 바로 받아들일 수 있는 건물이 적지 않다. 시는 이미 발 빠르게 시 소유의 건물로 후보 물색도 끝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민간 기업도 좋은 시설을 인천 발전을 위해 흔쾌히 제공하겠다는 움직임까지 보인다면 금상첨화가 되겠다. 민간 기업이 지역과 시민에게 낮은 자세로 사회공헌을 하겠다면 인천 시민의 지지와 사랑을 얻게 될 것이다. 이러한 민간의 움직임이 있다는 사실 자체로도 중앙정부가 재외동포청을 인천으로 결정하는데 귀중한 계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인천에는 공공기관 유치에 성공하지 못한 사례가 넘치고 중요한 사업을 다른 지역에 빼앗긴 적도 부지기수다. 이번에 시, 시민, 시민사회단체, 민간 기업이 일심동체로 움직이면 좋은 결실이 맺혀지지 않겠나.

9일에는 인천 여야 국회의원들이 모여서 인천시장과 함께 외교부와 행안부의 수장들과 더불어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에 대해 협의한단다. 재외동포청을 서로 자기 지역구에 유치하겠다는 경쟁에 분란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지역구만이 아니라 인천 전체를 생각하는 국회의원이 나중에 인천 전체를 경영할 기회를 갖게 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재외동포청이 진짜 인천으로 오는지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

/이준한 인천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관련기사
[포토] “인천에 재외동포청을” 시민 염원 [특별기고] 재외동포청, 인천에 있어야 하는 이유 월미도에 가면 한국이민사 박물관이 있다. 1902년 12월 22일 인천 내리교회 교인 121명이 하와이로 가기 위해 탑승한 상선 갤릭호를 재현해 놓았다. 그 이후로 인천항을 통해 하와이로 간 7415명의 명단이 벽에 붙어 있다. 이민의 역사는 인천을 빼놓으면 설명이 안 된다.그로부터 121년이 지났다. 지금 해외에 나가 있는 우리 동포는 730만 명이 넘는다. 정착하기 어려운 환경 속에서 늘 고국을 생각하며 독립운동을 하기도 하고 독립자금을 보내기도 했다. 나라를 떠나면 더 애국자가 된다는 말을 실천하신 분들이다. 이분들은 대통령 [특별기고] 재외동포청 역사성·장소성 갖춘 인천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늙어가는 국가'다. 일본보다 더 심각한 저출산, 고령화로 인구 소멸위기에 처했다. 출산을 독려하는 국가 총력체제를 갖춰야 하고 이주민에게도 우호적으로 문을 열어야 할 때다. 항만도시 인천은 이런 역할을 너무도 잘 할 수 있는 여건을 갖췄다.역사적으로 개방성, 역동성, 포용성이 넓고 큰 도시다. 동양 최대의 갑문(내항 제1갑거)이 1918년 완공된 이후 인천항은 산업화의 중추기능을 맡았다. 문화강국을 염원한 백범 김구 선생이 1914년 인천감리소에 투옥됐을 때 갑문 건설 노역에 동원됐 [특별기고] 730만 재외동포의 마중물 '인천' 인천은 재외 동포들의 유입과 정착이 이어지고 있는 다문화 도시이다. 외지 출신도 많아 충청을 비롯한 영남, 호남, 이북5도 등 출신지역이 다양하게 분포돼 작은 한반도라는 특색을 나타내고 있다고도 한다. 한국전쟁을 거치며 북한으로부터 피난민들이 대거 유입됐고, 남한 각 지역에서 이주해 와 근대화를 이뤘다. 이제 국제도시 인천이 재외동포를 맞이해야 한다.인천은 구한말 첫 이민의 출발지였으며, 근대문명의 초입지였다. 대한민국이 경제개발 단계에서 인력 송출 국가로서의 지위를 유지해 왔지만 이제는 이주자들을 포용하는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특별기고]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 한마음 한뜻으로 이뤄내자 새로 신설되는 재외동포청 유치경쟁이 치열하다. 인천시를 비롯해 제주도, 광주시, 대전시 등이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인천은 역사성, 접근성, 경제성을 고려할 때 재외동포청 소재지의 최적지로 평가받는다. 그런데 인천 10개 군·구가 사분오열된 모습으로 각자의 목소리를 내는 것은 곤란하다. 민관정 모두 하나가 되어 염원해야 재외동포청 인천 유치를 이룰 수 있다.2월 27일 국회에서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되었다. 재외동포재단을 해산하고 중앙행정기관인 재외동포청 신설의 내용을 담고 있다. 지난 제20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