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향·온도·제조법' 알면 더 맛있다
유진용의 발효

사케는 어떻게 분류하나?

첫 번째, 맛과 향으로 분류한다. 쌀로만(준마이 계열) 빚거나 양조알콜을 섞거나(긴조 계열) 하는 방법과 또 양조알콜의 투입 함량에 따라 각각의 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원래 우리나라에도 순전히 쌀로 빚거나 증류주를 섞어서 만든 과하주가 이미 존재한다. 서양의 포트와인이나 셰리와인과 혼돈할지 모르니 이참에 확실하게 구분하자. 

포트와인이나 셰리와인을 알콜강화 와인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이 생긴 이유는 영국과 프랑스간의 전쟁 때문이다. 전쟁에 진 프랑스가 보복조치(?)의 하나로 대영 와인수출을 금하자 프랑스인보다 더 프랑스 와인을 즐기던 영국인들은 궁여지책으로 프랑스가 아닌 스페인과 포르투칼에서 와인을 수입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포르투칼의 포트항구에서 출발한 여러 날이 걸려 와인은 상하기가 일쑤여서 어쩔수 없이 와인을 증류한 브랜디를 섞어서 변패를 막았다. 알콜 도수가 20도를 넘게되면 상하는 법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과하주(過夏酒)는 그 의도가 다르다. 수출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여름이 지나도 상하지 않는 술이라는 뜻이다. 발효주는 맛과 향은 좋으나 곧 상하기 쉽고 증류주는 상하지 않으나 증류하는 과정에서 맛과 향이 모두 사라져버린다. 

그런데 발효주에다 증류주를 섞는다면 맛과 향이 모두 남아있고 술도 쉽게 상하지 않으니 양쪽의 장점을 모두 취한 것이 바로 과하주인 것이다. 

일본 사케의 제조과정에서 양조알콜을 섞는 방안은 바로 우리나라 과하주기법에서 나온 것이다. 물론 그 이후에 양조알콜을 생산하는 방법이 달라져 대량생산된 주정을 사용하게 되고 이 때문에 도수가 높아진 술을 희석시키면서 희석식 소주가 만들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아무튼 긴조와 준마이, 보통주, 혼조조 등으로 인해 향이 강한 군슈. 오랜된 숙성을 기본으로하는 주쿠슈. 경쾌하고 매끈한 스타일인 소슈. 보다 복잡다단한 잡탕(?)준슈 스타일로 나눈다. 

두 번째 분류는 온도에 의한 분류다.

물론 와인이나 다른 술들도 마시는 온도를 중요시하지만 사케처럼 데워서 마시는 일은 거의 없다.

흔히 이자카야를 가면 술을 데워주기도 하는데 어떤 술은 데워 마시고 어떤 술은 차게해서 마셔야할까? 

쉽게 판단하면 향이 좋고 풍부한 술은 차게해서 마시는 것이 좋고 그렇지 못한 술은 데워서 마시는게 좋다. 사케를 데우면 향과 풍미가 날아가 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니 값 비싼 맛있는 사케를 데워서 마신다면 이 얼마나 원통한 일일까? 

그 다음 질문은 도대체 얼마나 데워야할까? 알콜이 증류되는 온도가 78°C이니 물론 그 아래이겠지만 통상 30°C~55°C까지가 합당하다. 

일본술을 마시는 도구 가운데 도쿠리(德利.사진)가 있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도쿠리를 사용하여 뜨거운 온도의 물에 담궈 중탕으로 뎁혀내는 방법이다. 그외 중탕할 도구가 없다면 전자레인지나 가열도구를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술맛과 온도의 관계가 대단히 민감하기 때문에 각자의 기호에 따라 맞춰서 마시면 된다. 

세 번째는 제조방법에 따른 분류이다. 

처음 발효가 끝난 술은 통상 알콜도수가 12~18도 언저리인데 이 상태의 술을 겐슈(原酒)라고 하고 발효 진행 중인 술에다가 이미 완성된 사케를 섞어 만드는 귀요슈, 이제 막 거른 술로서 막걸리와 유사한 니고리자케(濁한 술), 인공적인 유산균을 넣어 만드는 기모토, 단일 제조장에서 만든 순수한 사케를 기잇본이라 하며 마지막으로 발포와인인 샴펜처럼 탄산가스를 이용한 핫포세이슈(発泡淸酒)가 있다. 

네 번째는 저장방법에 의한 분류인데 1년 이상 숙성한 것은 고쥬 또는 히조슈(古酒,祕藏酒)라 하고 가열처리(60°C에서 30분정도)를 하지 않은 술을 나마자케, 출하 직전에 열처리를 하면 나마초, 가열처리후 보관하였다가 내는 술을 나마즈메슈라고 하고 100년이 넘게 저장한 술 다이코슈와 동결한 상태로 저장하는 동결주, 제조년도인 7월에서 다음 해 6월까지 생산한 신슈(新酒)의 개념도 있다.

▲ 유진용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 시민명장
▲ 유진용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 시민명장

/유진용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 시민명장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관련기사
[유진용의 발효 이야기] '27' 사케, 우리 술과 어떻게 다르지? 우리 술의 전성기는 조선 말까지였다. 그러다 일제강점기에 접어들면서 일본은 누구나 만들어 먹던 술 빚기를 양조허가제로 바꾼다. 생각해보라. 만약에 김치 담가 먹는 것을 허가제로 바꾼다면 어떨지?1909년 주세법을 개정하더니 1916년 조선총독부제령 제2호 주세령으로 막대한 세금을 부과하기 시작하였다.생각해보라. 멀쩡히 잘 빚어 마시던 술에다가 허가제로 바꾸고 막대한 세금을 물리니 집집마다 내려오던 가양주의 맥이 끊어지는 것은 당연하지 않은가? 그래놓고는 일본의 양조산업을 조선으로 진출시켜 일본술이 판을치도록 만들었다.부산, 마산, [유진용의 발효이야기] '26' 사케 기묘한 술, 그리고… 쌀·물·누룩으로 빚은 준마이계열-알콜 첨가 긴조주 구분사케의 특이한 점은 술에 등급을 두고있다는 것이다. 와인의 등급 나누기와 비슷한 체계를 가진 적이 있었는데 1991년 이전에는 초도쿠센(超特選), 도쿠센(特選 ), 조센(上選), 가센(佳選) 등으로 4단계로 나누었다.얼핏 와인등급과 비슷하다. 그러나 복잡한 사케의 품질을 나타내기엔 역부족이었던지 이러한 등급제를 폐지하고 새로운 형태인 특정명칭주로 등급을 만들었다.이러한 특정명칭주를 자세히 들여다 보면 어느정도 사케의 속내를 알게되고 사케를 고르는데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그러면 사 [유진용의 발효이야기] '25' 사케, 일본의 전통주 동아시아의 한중일은 지역적으로나 생태적으로나 교류가 잦았고 그 이유로 모든 문화나 제도가 서로간의 영향으로 비슷한 점들이 많아질 수 밖에 없고 술에 있어서도 그 또한 예외일 수는 없었다.그래서 일본의 전통주 '사케'라는 이름이 우리나라의 '삭히다'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는 이야기가 설득력이 있게 들릴 수 밖에 없다.그런 면에서는 일식의 형태 가운데 '오마카세'가 우리 말 '맡기세'(요리사에게 메뉴 구성을 맡긴다는 의미)에서 비롯되었다면 믿을 수 있을까?일본의 전통주 <사케>의 [유진용의 발효이야기] '24' 일본의 술 전세계를 통틀어 다섯 손가락에 드는 술 잘 빚는 나라를 꼽으라면 어떤 나라일까?우선 와인과 브랜디로 잘 알려진 프랑스와 위스키로 둘째 가라면 서러울 영국, 그리고 맥주의 종주국 독일을 꼽겠다. 물론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고 미국과 중국, 칠레, 호주 등 국가들로부터 엄청난 항의를 듣겠지만 말이다.여기서 네 번 째 국가로 일본을 꼽으려 한다. 일본은 섬나라지만 이미 3세기 경 삼국지 위지 동이전 왜인편에 술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고 <고사기>의 중권<응신천황조>편에는 백제인 수수보리가 일본으로 건너가 술빚는 법을 전하고 응신천황에게 [유진용의 발효 이야기] '29' 일본의 양조장과 술집 일본의 양조 역사 가운데 가장 폭발적인 발전의 시기가 있었으니 메이지 정부가 1875년 술에대한 일체의 규제를 철폐하고 주조세와 영업세로 이원화하며 세금을 대폭 감경한다. 이 여파로 양조기술이나 자본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양조를 할수가 있게 되었다. 이러한 조치로 인해 한 해 사이에 무려 3만 개가 넘는 사케구라(술도가)가 생겨났고 술의 춘추전국 시대가 된 것이다. 독일 맥주의 번성 이유와 흡사하다.그러나 이런 혼란은 지나친 경쟁을 초래하기에 장시간 그대로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했다. 또다시 주세법이 강화되면서 양조장의 숫자는 [유진용의 발효이야기] 31. 세계 5대 위스키에 꼽히는 일본 위스키 위스키란? 깊게 들어가면 한량없겠지만 보리를 발아시킨 것을 몰트(엿기름)라고 하고 그 몰트를 사용하여 당분을 만들고, 다시 당분을 효모 발효하여 술로 만든 다음 이를 증류한 것을 위스키라고 한다. 하지만 이것이 다가 아니다. 때로는 보리 대신으로 밀이나 옥수수 등을 사용하여 만들기도 하는데 전자를 몰트 위스키, 후자를 그레인 위스키라고 구분하고 있다. 게다가 최소 3년은 숙성시켜야 한다는 조건도 달려있다. 특히 몰트 위스키의 경우 증류기 한 곳에서 만든 것은 싱글 몰트 위스키라고 하고 여러 곳에서 만든 것을 적당히 섞은 것을 블랜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