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현안

1. 미래먹거리 지원 필요
송도·청라·영종 거점지 주목
의료·항공·수소산업 지원

2. 교통망
GTX-B 등 광역철도망
경인선·경인고속도로 지하화

3. 도시재생
내항 1·8부두 우선개방·
항만 재개발→ 원도심 활성화

4. 공공의료
감염병 대응 인프라 확충
제2의료원·국립대병원 유치

5. 수도권매립지
새정부 조정 협상 테이블
'수도권 매립지' 종지부
▲ 새 정부가 풀어야 할 인천 과제 가운데 당면 현안은 '수도권 매립지'다. /인천일보DB

선택의 시간이 끝나고, 새로운 아침이 열렸다. '민심의 풍향계'로 불리는 인천에서도 730개 투표소에서 시민들이 미래를 결정했다.

막판까지 판세를 점치기 어려웠던 20대 대통령선거에선 각종 쟁점뿐 아니라 지역 공약들도 분출했다. 뜨거웠던 선거 분위기에도 인천 공약은 색깔과 무관했다. 미래 먹거리와 공공의료와 교통망과 도시재생에 대한 약속은 여느 후보나 마찬가지였다. 해묵은 현안들을 바라보는 인천시민의 목마름이 반영된 결과다.

새로운 대통령이 감당해야 할 과제는 인천의 미래와도 직결된다. 대선 과정에서 인천에는 '미래'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특히 미래 먹거리인 첨단산업 육성은 지역경제 고도화와 일자리 창출을 견인할 방안으로 제시됐다. 산업단지 노후화로 제조업 경쟁력이 뒤처진 현실도 고려됐다. 인천은 이미 송도·청라·영종 국제도시를 발판 삼아 바이오·수소·항공정비(MRO) 등 미래 산업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첨단의료복합단지와 항공산업특화단지 지정, 수소생산 클러스터 구축 등은 정부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

시민 주목도가 높은 과제로는 '교통망'이 꼽힌다. 국가교통데이터베이스를 보면 인천시민 출퇴근 소요 시간은 92분(2019년 기준)으로, 서울(96.4분) 다음으로 길다. 전국 평균(79.3분)과는 13분이나 차이 난다. 인천시는 대선을 앞두고 발표한 '인천 지역공약 20선' 자료에서 “건설 중인 신도시의 정주여건 보장, 수도권 집값 안정을 위해 편리한 교통망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 새 정부가 풀어야 할 인천 과제 가운데 당면 현안에는 '수도권 매립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를 중심으로 하는 교통망 확충(사진), 제2의료원설립 등을 포함한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 원도심 활성화 등 이 있다. /인천일보DB
▲ 새 정부가 풀어야 할 인천 과제 가운데 당면 현안에는 '수도권 매립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를 중심으로 하는 교통망 확충(사진), 제2의료원설립 등을 포함한 공공의료 인프라 확충, 원도심 활성화 등 이 있다. /인천일보DB

이번 대선에서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를 중심으로 한 철도망은 핵심 공약이었다. 특히 송도국제도시·인천시청·부평역을 지나는 GTX-B에 더해 인천 구간이 포함된 GTX-D·E 등 노선 신설 공약도 제시됐다. 이들 광역 철도망이 실현되려면 국가 계획 반영, 국비 지원 등이 뒤따라야 한다.

이번 대선에서 화두로 떠오른 공약은 경인선·경인고속도로 지하화다. 인천을 가로지르며 남북으로 도심을 단절시킨 경인전철과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는 원도심과 신도심의 균형발전 차원에서 정치권이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고 있다. 내항 1·8부두 우선 개방과 항만 재개발도 원도심을 활성화하는 지렛대가 될 전망이다.

2년 넘게 계속되는 코로나19 사태 속에 사회 안전망으로 인식된 공공의료도 새로운 대통령이 짊어져야 할 몫이다. 관문도시라는 특성을 지닌 인천은 해외 유입 감염병 대응 측면에서 의료 인프라 확충이 과제로 제기된다. 공공의료기관 병상 비중도 4.5%로, 전국 평균(9.7%)에 못 미칠 뿐 아니라 광역시 가운데 울산 다음으로 낮다. 시는 취약한 공공의료 현실을 개선하는 제2의료원 설립, 필수 의료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국립대학병원 유치를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새 정부가 풀어야 할 인천 과제 가운데 당면한 현안은 '수도권매립지'다. 시가 인천 폐기물을 따로 처리하는 자체 매립지(인천에코랜드) 조성을 본격화하고 있지만, 수도권매립지 문을 닫으려면 '4자(인천시·서울시·경기도·환경부) 협의체' 논의가 병행돼야 하는 까닭이다. 201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연장한 4자 합의문에는 “대체 매립지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잔여 매립지를 추가로 사용한다”는 조항도 담겨 있다. 서울시 등 다른 지자체와의 갈등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새 정부가 조정하는 협상 테이블은 30년째 이어지고 있는 수도권매립지 역사에 종지부를 찍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인천 지역공약 20선' 자료를 통해 “환경부·국회 등의 중재나 협의를 통해 추가 사용 논란을 불식시키는 수도권매립지 종료가 확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관련기사
[20대 대통령에게 바란다] 경기 '남·북부 균형발전' 경기도는 인구가 1400만명에 이르는 전국 최대 광역지방자치단체인 만큼 지역·주거·교통·교육·경제 등 과제가 산적하다. 접경지역이 있고 인천·서울을 둘러싼 지리적 특성상 경기 남·북부 불균형, 신도시 노후화, 교통망 구축 등은 계속 풀어야 할 현안이다.20대 대선 선거 국면 당시 후보들 모두 관련 공약을 강조하며 표심을 호소했다.그중 많이 언급된 사안 중 하나가 경기 남·북부 균형발전이다. 도는 한강을 기준으로 남부와 북부로 나눴을 때 지역내총생산이 2020년 기준 남부 3969만원, 북부 2401만원으로 1568만원 차이가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