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파파라치, 태양광 산사태
전공의 체포등 가짜뉴스에 큰 혼란

도 온라인신고센터 6월 문 열어
정부 국민 팩트체크 플랫폼 준비
/출처=연합뉴스

 

주요 이슈를 둘러싼 '가짜뉴스'로 우리 사회가 심각한 몸살을 앓자 중앙 및 지방정부가 가짜뉴스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부정확한 소문이 마치 사실인 것처럼 퍼지면서 사회적 혼란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3면

여기에 시민들 역시 가짜뉴스를 검증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자발적으로 구축하는 등 가짜뉴스 근절을 위해 발벗고 나섰다.

6일 경기도 코로나19 가짜뉴스대책단에 따르면 지난 6월 개설한 온라인 신고센터에 이달까지 300여건에 달하는 가짜뉴스 신고가 들어왔다.

백종덕 가짜뉴스대책단 공동단장은 “도와 이재명 경기지사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상에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행위를 신고받아 법률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앞서 1차 고발로 도내 가짜뉴스 37건을 경찰에 고발했으며 최근에도 악의적인 내용의 가짜뉴스 90건을 2차 고발했다”며 “도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가짜뉴스 확산 속도가 너무 빠르다. 현재 도 역시 이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대책 마련 역시 강구 중”이라고 설명했다.

가짜뉴스는 갈수록 내용과 형태가 구체화하면서 점점 진실 유무를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코로나19 사태가 불거지면서 불확실한 정보가 가짜뉴스 형태로 쏟아졌고, 집중호우 등 자연재난 관련해서도 잘못된 정보가 마치 사실처럼 받아들여져 시민들은 불안에 떨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일례로 최근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이 지사가 꺼내 든 '마스크 의무 착용'과 관련해 '마스크 파파라치'가 기승을 부린다는 가짜뉴스가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를 중심으로 떠돌고 있다.

이는 마스크 파파라치가 마스크 미착용자의 사진을 찍고 이를 넘겨 1건당 3만원을 번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도에 확인한 결과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이 외에도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도내 곳곳에서 산사태가 발생하자 무분별한 태양광 패널 설치가 산사태를 키웠다는 가짜뉴스가 등장하기도 했다. 이 가짜뉴스는 관련 사진도 함께 돌아다녔는데, 이 역시 우리나라가 아닌 중국인 것으로 드러났다.

의료계 집단 휴진과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가짜뉴스 역시 범람하는 실정이다.

실제 경찰이 집단 휴진에 동참한 전공의를 체포하고자 병원을 급습했다는 내용이 문자 메시지로 퍼지면서 시민들 사이에 불안감이 조성되기도 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역시 '정부가 3단계 격상을 발표한다'와 '3단계가 아닌 2단계를 유지한다' 등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 나돌면서 시민들은 큰 혼란을 겪었다.

이처럼 확인되지 않은 허위정보가 가짜뉴스 형태로 무차별적으로 퍼지자 지난 3월 시민이 직접 가짜뉴스를 검증하는 온라인 플랫폼 '시민 체커'가 문을 열기도 했다.

임순혜 시민 체커 공동추진위원장은 “갈등을 부추기는 가짜뉴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시민들의 집단지성이 중요하다. 자극적인 소문에 대해선 의심을 하고 이를 확인하려는 노력이 먼저 필요하기 때문”이라며 “이 같은 취지에서 시작한 시민 체커는 시민이 직접 가짜뉴스에 대응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말했다.

가짜뉴스와의 전쟁을 선포한 중앙정부도 국민 참여형 팩트 체크 플랫폼을 대안으로 내놓는 등 적극적으로 나선 상황이다.

지난달 27일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디지털 미디어 소통 역량 강화 종합 계획'을 발표하면서 미디어 등이 제공하는 정보를 시민들이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팩트 체크 교육을 하겠다고 밝혔다.

방통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방식 디지털 미디어 사용이 크게 늘어나면서 허위정보 확산 역시 덩달아 늘어나는 추세”라며 “허위정보는 곧 중앙정부에 대한 신뢰 훼손과 사회적 혼란을 유발한다. 이에 종합 계획을 마련해 시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임태환 기자 imsens@incheonilbo.com



관련기사
[가짜뉴스, 전문가 의견 분분] 옳은 표현·개념 정리 중요 정치 및 경제적 이익 등을 위해 사실인 것처럼 유포하는 거짓 정보를 '가짜뉴스'라 표현하는 것을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다.'허위조작 정보'가 보다 옳은 표현이라는 목소리가 있는 반면 본래 개념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가짜뉴스의 정의에 대한 확실한 정리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정부나 지방정부, 정치권 등이 불리한 보도에 대해 가짜뉴스로 포장해 공격하는 사례들도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최진봉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6일 인천일보와 인터뷰에서 “최근 유튜브를 포함한 개인 SNS 등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