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봉 교수 “가짜뉴스는 '허위 조작 정보'... 정확한 표현하려고 노력해야”

이창현 교수 “시민 스스로 가짜뉴스에 대응할 이해능력 키우는게 더 중요”

박정의 교수 “현재 나와 다른 주장에 사용...원래 개념으로 돌아가야 할 때”

 

정치 및 경제적 이익 등을 위해 사실인 것처럼 유포하는 거짓 정보를 '가짜뉴스'라 표현하는 것을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다.

'허위조작 정보'가 보다 옳은 표현이라는 목소리가 있는 반면 본래 개념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가짜뉴스의 정의에 대한 확실한 정리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정부나 지방정부, 정치권 등이 불리한 보도에 대해 가짜뉴스로 포장해 공격하는 사례들도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최진봉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6일 인천일보와 인터뷰에서 “최근 유튜브를 포함한 개인 SNS 등을 통해 거짓 정보가 마치 사실인 것처럼 퍼지면서 시민들 사이에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이처럼 사실을 왜곡하거나 거짓을 진실처럼 꾸민 것을 가짜뉴스라고 표현한다”며 “다시 말해 가짜뉴스는 허위로 조작된 정보를 뜻한다. 이에 허위조작 정보가 정확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 교수는 “물론 가짜뉴스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도 큰 문제는 없다. 다만 사회적 혼란을 부추기는 허위조작 정보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하려면 정확한 표현으로 부르려는 노력이 필요하기도 하다”며 “아울러 허위조작 정보를 막을 수 있는 강력한 대처 역시 함께 필요하다. 즉, 제도적 장치 등을 통해 허위조작 정보에 대한 처벌을 확실히 해 우리 사회에서 허위조작 정보를 몰아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창현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 역시 “정부에서도 허위조작 정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만큼 가짜뉴스의 표현을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는 건 사실”이라며 “다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가짜뉴스가 범람하는 상황 속에서 시민 스스로 가짜뉴스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이해 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점이다. 다양한 매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인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등을 통해 가짜뉴스로부터 우리 사회를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가짜뉴스라는 표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달리 점점 본질이 흐려지는 가짜뉴스에 대한 개념 정리를 확실하게 하자는 의견도 나온다.

박정의 인하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당초 가짜뉴스는 팩트 체크 과정에서 사용했었다. 그러나 문제는 조금씩 개념이 변하기 시작하면서 현재는 '나와 생각이 다른 사람의 주장'을 가짜뉴스라고 말하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며 “이로 인해 가짜뉴스라는 표현이 대중적으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는 문제까지 생겨났다. 언어에는 사회성이 있는 만큼 이제 와서 이를 다른 표현으로 바꾸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며 “이에 가짜뉴스가 원래 개념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사회적 합의 및 노력 등이 먼저 필요할 때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물론 무엇보다 언론 역시 신뢰도 높은 콘텐츠를 만드는 등의 역할을 잘해야만 한다”고 조언했다.

/임태환 기자 imsens@incheonilbo.com

 


 

민진영 경기민언련 사무처장 “지역언론 역할 필요 … 변화 고민·신뢰 회복해야”

 

▲ 민진영 사무처장
▲ 민진영 사무처장

 

“우리의 삶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역의 소식과 뉴스다.”

민진영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6일 인천일보와 인터뷰에서 “가짜뉴스를 상대하기 위해 풀뿌리 언론인 지역언론의 역할과 육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지역언론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는데 광고시장의 위축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지역언론이 생존의 위기에 처해 있다”며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고민하고 독자의 삶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뉴스를 지역성, 탐사, 기획보도로 신뢰와 영향력을 회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민 사무처장은 코로나19 확산과 관련 거짓 정보와 가짜뉴스들의 생산지로 유튜브를 지목했다. 유튜브는 특정 영상을 시청하면 관련성이 높은 동영상이 알고리즘을 통해 제공되기 때문이다.

민 사무처장은 “같은 시각을 가진 영상을 4~5개 계속 시청하다 보다 보면 동영상의 내용이 진실이라고 믿게되는 경우가 많다”면서 “결국 이 가짜뉴스가 진짜뉴스로 둔갑하고, 일방적인 주장의 반복으로 사람들을 세뇌시킨다”고 분석했다.

진영논리에 맞춘 가짜뉴스는 점점 덩치를 키워 갈등과 혐오를 양산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그는 “가짜뉴스가 신념화되면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거나 토론하는 숙의 민주주의 과정은 외면되고 상대방을 적으로 규정해 배척하게 된다”면서 “정치권 역시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할 때 자신의 진영을 결집, 확장하려는 의도가 있어 갈등과 혐오를 모르쇠로 일관하거나 부추기는 경향도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염려했다.

이어 “가장 영향력이 큰 언론들이 특정 생각을 주장하는 한 집단지성이 발휘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 “입시 위주의 교육이 아닌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과 토론하고 합의하는 숙의 과정이 교육에 반영돼 생각을 모아나가는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과정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민 사무처장은 초등학교부터의 미디어 교육을 강조했다. 미디어의 올바른 이용을 촉진하는 사회 운동을 일컫는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를 도입해야 한다는 것. 또한 광고주나 특정인에 의해 선택되고 편집되어 제공되는 뉴스 제작과정을 배우고 자신의 이야기를 주장할 수 있는 교육을 지역 언론 현업인, 교수 등을 통해 언론에 대한 중요성, 친근감, 팩트체크를 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점을 대안으로 꼽았다.

그는 “코로나 무증상자가 자신뿐 아니라 가족, 타인에게 전염시킬 수 있는 것처럼 가짜뉴스에 의해 왜곡된 인식은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행복을 가로막고 혼동과 분열을 일으킬 수 있다”면서 “보다 나은 삶을 위해 가짜뉴스를 외면하고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뉴스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모두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석균 기자 demol@incheonilbo.com



관련기사
정부·도, 가짜뉴스와 전쟁 주요 이슈를 둘러싼 '가짜뉴스'로 우리 사회가 심각한 몸살을 앓자 중앙 및 지방정부가 가짜뉴스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부정확한 소문이 마치 사실인 것처럼 퍼지면서 사회적 혼란을 유발하기 때문이다.▶관련기사 3면여기에 시민들 역시 가짜뉴스를 검증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자발적으로 구축하는 등 가짜뉴스 근절을 위해 발벗고 나섰다.6일 경기도 코로나19 가짜뉴스대책단에 따르면 지난 6월 개설한 온라인 신고센터에 이달까지 300여건에 달하는 가짜뉴스 신고가 들어왔다.백종덕 가짜뉴스대책단 공동단장은 “도와 이재명 경기지사 등을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