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 헐값에 받으며 2024년 건립 약속 어겨
최근 들어 연구중심병원 '장밋빛 마케팅'
적십자병원 증축 통한 인프라 확충 대안도
5일 인천시의회에서 열린 ‘송도 세브란스 병원 주요 쟁점과 해결방안 토론회’에 참석한 강원모 인천시의회 부의장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이상훈 기자 photohecho@incheonilbo.com

 

십여 년간 지지부진한 인천 송도 세브란스 병원 건립 계획을 두고 지역사회의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연세대 측이 '송도 바이오 클러스터 발전'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다. 하지만 이에 앞서 연세대가 송도 세브란스 병원의 발전 모델을 구체화하고 설명하는 과정이 우선돼야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됐다.

강원모(민·남동구4) 인천시의회 부의장은 5일 열린 송도 세브란스 병원 관련 토론회에서 “인천 송도에 연구중심병원이 들어온다고 해서 저절로 바이오산업이 발전하지 않는다. 민간 병원일지라도 정부의 행정·금전적 지원이 이어지는 만큼 지역사회에 구체적인 발전 전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강 부의장은 송도 세브란스 병원 건립을 조건으로 연세대에 제공된 송도 11-1공구 부지에 대해 언급했다. 인천시는 지난 2018년 연세대와 '국제캠퍼스 2단계 조성사업 협약'을 맺고 조성원가에 준하는 3.3㎡당 389만원에 33만6600㎡ 부지를 넘기기로 했다. 여기서 59%가량은 주상복합 건물, 공동주택 등을 건립할 수 있는 수익용지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연세대는 2024년까지 세브란스 병원을 건립하겠다는 협약상의 약속을 지키지 못하겠다고 선언한 상황이다.

강 부의장은 “유감스럽게도 세브란스병원 측은 지난 2년간 협약을 지키려는 의지와 노력을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최근에서야 연세대가 건립 시한을 2026∼2027년으로 거론하기 시작했다”며 “(게다가) 최근에서야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 등 송도 바이오 기업들과 연계한 바이오 분야 연구 전문 병원 개념을 내놓기 시작했으나, 전문 인력 충원과 장비 도입 등 구체적인 병원에 대한 사업계획은 내놓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연세대 측이 '장밋빛 마케팅' 수단으로 바이오 연구중심병원 설립을 활용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김철홍 인천대 교수는 “연세대 세브란스 병원이 송도에 들어선다고 해서 바이오 분야의 연구 병원으로 설립되는 것도 보장받을 수 없는 만큼, 이마저도 병원을 유치하기 위한 또 하나의 구호가 아닌가 의심이 된다”며 “단순히 세브란스라는 브랜드 가치에만 매몰돼서는 안된다. 시가 온갖 특혜를 제공함에도 병원 건립 사업이 진행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냉철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송도 세브란스 병원 건립 사업을 두고 인천 지역의 부족한 의료 인프라를 확충하는 방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임준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본부 센터장은 “인천은 치료가능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도시로 꼽히는 만큼 공공성을 띈 종합병원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인천 적십자 병원을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으로 증축하는 등 진료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



관련기사
바이오 카드까지 꺼내든 세브란스 … 두 토끼 잡을까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예정된 연세대 세브란스 병원이 바이오 분야 '연구중심병원'에 초점 맞춰 추진되는 모양새다. 규모 축소를 두고 염려가 잇따르자 연세대 측은 1000개 병상 규모의 대학병원 건립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입장도 내놨다.한균희 연세대학교 약학대학장은 5일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송도 세브란스병원 주요 쟁점과 해결방안 토론회'에서 “송도 세브란스 병원 건립을 위해 대학 이공계 기초과학 프로그램과 함께 바이오 대학, 의대 등이 함께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작업이 병행돼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