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산하기관 소유시설 한정...시·군 연계되지 않아 불편

경기도가 각종 공공시설을 한 곳에서 예약하는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면서 대상을 도와 도 산하기관 소유 공공시설로 한정해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라고 빈축을 사고 있다.

이대로 시스템을 구축하면 도민들은 공공시설을 예약하기 위해 경기도와 각 시군 시스템을 따로따로 확인하는 불편을 겪어야 한다.

4일 도와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도는 내년 7월을 목표로 '경기도 공유시설 통합예약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는 도민의 세금으로 만든 공공시설을 주민에게 환원하겠다는 취지로, 시스템 한 곳을 통해 도와 도 산하기관의 240개 회의실 및 교육장, 58개 행사장·강당, 18개 체육시설, 5개 운동장, 3개 광장, 6개 전시장, 19개 공연장 등 359개 공유시설(지난 6월 기준)의 예약이 가능해 진다.

그러나 도가 구축하려는 예약시스템의 경우 기초지방자치단체 예약 시스템과 연계되지 않아 도민들은 여러 시스템 및 홈페이지를 찾아다녀야 하는 불편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도가 시스템 구축 대상 시설을 도와 도 산하 공공기관 소유 시설로 한정했기 때문이다. 현재 경기도와 별개로 시흥과 부천시는 관내 공공시설을 예약 및 결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수원과 의왕은 시청 홈페이지에 별개의 홈페이지를 구축해 빌릴 수 있는 공공시설물 현황공개 및 예약여부를 안내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의 예약시스템 구축 후 수원시민은 수원시내 공공시설물 예약을 위해 수원시 홈페이지와 도의 예약시스템을 따로 확인해야 한다. 반면, 서울시의 경우 시와 각 자치구, 산하기관 등이 소유한 공공시설을 모두 묶어 한 개의 통합예약시스템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이같은 도의 계획에 대해 '행정편의주의적' 정책 추진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수원에 거주하는 박모(50)씨는 "도민의 관점이 아닌 공무원의 관점에서 정책을 추진하다 보니 이 같은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라며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라 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장기적으로는 도와 시군의 공공시설물을 모두 예약시스템에 포함하는 것이 맞을지 몰라도 도는 서울시와 달리 각 기초지방자치단체장 명의로 공공시설이 등록돼 있고, 시·군과 협의 없이 예약시스템에 (시·군의 공공시설물을) 등록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공공시설물 관리나 예산을 사용하는 호주머니도 다르지 않느냐"고 답했다.

/김중래 기자 jlcomet@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