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 처리 땐 환경피해 줄어
소각률·경제효율 향상 분석
조성지역 주민 반발 우려도
인천시가 중장기적으로 소각장을 확장하는 내용의 폐기물 정책 수립 필요성에 공감하면서 향후 추진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폐기물을 소수의 소각장이 아닌 여러 곳으로 분산시켜 소각처리 할 경우 환경 피해가 최소화되고, 안정적인 처리도 가능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9일 시에 따르면 시는 인천지역 내 광역폐기물소각장을 현재 청라·송도 2곳에서 중장기적으로 4곳까지 확대하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시는 이러한 내용의 중장기적인 폐기물 정책 수립을 고심하고 있다.

같은 양의 폐기물을 여러 소각시설에서 처리하는 것이 환경적으로 피해가 최소화되고, 경제적으로 더 효율적이다. 소각시설을 최대 소각 가능한 용량의 100%로 가동하면 그 만큼 대기 오염이 많이 발생하고, 과부화로 수명이 단축되기 때문이다.

또 소각장의 보수 등으로 가동이 중단 됐을 때 폐기물이 여러 곳으로 분산될 수 있어 쓰레기의 안정적인 처리도 가능하다. 특히 우리 지역에서 발생한 쓰레기는 해당 지역이 처리한다는 원칙에도 부합한다.

인천시는 일본을 그 사례로 제시했다. 최근 인천시 방문단이 현장 시찰한 일본 요코하마와 오사카 인구는 인천시와 비슷하지만 소각시설은 4~6기까지 운영 중이다. 인구 수 대비 여유 있는 소각 시설을 보유한 일본의 소각률은 93.5%, 반면 우리나라는 20% 수준에 불과하다.

전문가들도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지난 달 말 열린 클린서구 환경시민위원회에서 '일본처럼 소각장이 3~4곳이 필요하다. 그런 노력이 중장기적으로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소각장 확충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소각장이 새로 들어설 지역에 주민 반발이 우려된다.
이미 청라소각장의 경우도 주민 반발로 증설 사업이 전면 재검토됐다. 시는 청라소각장을 전면 보수하고 처리 용량을 750t 규모로 증설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증설과 폐쇄, 이전 여부 등을 포함해 종합적으로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송도소각장의 내구연한도 2024년까지로 시는 내년 한국환경공단에 기술진단을 의뢰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소각장 확장이 결정된 것은 없고 다만 일본 사례처럼 여러 소각시설 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하고 있다"며 "앞으로 도시개발이 이뤄질 때 개발시행자도 소각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회진 기자 hijung@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