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공후 4년3개월동안 1천7백억원이 투입된 영흥대교가 어제 그 단아한 모습을 드러냈다. 다리는 삶을 풍요롭게 한다. 그래서 선진 여러나라들은 자신들이 가진 문화적 열정을 쏟아 다리를 건설한다. 그런 관점에서 볼 때 영흥대교 준공의 의미는 크다.
 선재도~영흥도를 잇는 총길이 1.25㎞, 폭 9.5m의 왕복 2차로로 건설된 영흥대교는 지난해 11월 개통한 선재대교(대부도~선재도간 0.55㎞)와 함께 영흥도를 육지로 연결, 수도권에서 1시간이면 족히 닿을 수 있는 지금의 거리로 좁혀 놓은 인천의 명물로 대접받기에 충분하다. 동시에 서해의 새로운 명소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너울대는 바닷물을 가르며 수평 위에 펼쳐지는 너른한 서해 개펄에 꽂혀 웅장하게 버티고 있는 영흥대교가 단순히 바다를 건너는 수단으로서의 다리가 아니라 삶의 현장이자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되기를 기대한다.
 영흥대교 개통에 맞춰 옹진군이 영흥개발 기본구상을 밝혔다. 그 골자를 보면 2015년까지 연간 84만명의 관광객을 수용할 수 있는 도시기반시설과 관광인프라를 구축하여 관광지역으로서의 틀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과연 계획대로 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질 것인지에 대한 의문부터 앞선다. 그 이유는 영흥도를 관광특화지역으로 꾸미기 위해서는 도로개설 및 포장 주차장 확보, 폐기물 처리 등으로 모두 3백4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옹진군의 재정자립도는 25%에 불과하다.
 현재 영흥도 거주 3천여명의 주민들은 아직 상수도 시설이 안돼 있는 탓으로 간이상수도와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다. 하수도도 전체 16.6㎞중 3.3㎞만이 정비된 수준이다. 어디 그뿐인가 분뇨 및 정화조 오니시설은 전무한 지경이다. 우리는 여기서 영흥도가 자칫 무질서와 난개발로 만신창이가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떨쳐버릴 수 없다.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주민의 재산권 보호차원에서 개발은 불가피하다고 보며 이에 이론을 제기하지 않는다.
 그러나 한편으론 개발을 빙자한 끊임없는 자연훼손과 논란 등 그간 정책의 시행착오 과정을 되돌아보면 걱정을 감출 수 없는게 사실이다. 과연 계획대로 개발이 이루어질 것인지, 투자비를 어떻게 확보해 나갈 것인지, 관리체계가 제대로 확립될 것인지 의구심이 드는 게 한두가지가 아니다. 땅투기는 물론 마구잡이 개발도 보다 엄격히 해야할 대목임을 강조해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