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생산으로 재활용 비율이 꾸준히 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품질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19일 인천시 서구 검단동 쓰레기매립지내 위치한 국립환경연구원과 `쓰레기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운동협의회""(대표·김재옥 이하 쓰시협)가 공동으로 주최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정책의 정착을 위한 심포지엄""에서 국립환경연구원에 최훈근 박사는 이 같이 밝히고 재활용된 음식물쓰레기 퇴비의 유해성 여부가 검토되지 않은 채 유통되고 있어 토양은 물론 농작물의 성장 저해를 유발하는 등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박사는 이날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의 품질관리 방안""이라는 자신의 연구논문에서 우리나라의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률은 정부의 강력한 재활용 추진 정책에 힘입어 지난 95년 단 2%에 불과하던 것이 지난해 45%를 넘어 하루 5천t 이상의 음식물쓰레기가 가축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되고 있지만 생산된 제품에 대한 유해성분 검사나 안정성 평가가 미흡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최 박사는 논문에서 우리나라 비료관리법에 의한 재활용 퇴비에 대한 검사항목은 수은과 납 등 기본적인 것외에 토양의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진 니켈과 아연 등에 대한 검사는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밝혔다.
 또 음식쓰레기의 퇴비화 과정에서 충분히 발효되지 않거나 숙성과정을 거치지 않은 제품이 유통되고 있어 농작물 성장저해를 유발할 수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는 최근 농촌진흥청이 음식쓰레기를 재활용한 비료생산업체 14곳에서 생산된 비료의 품질조사한 결과 유해성분을 초과한 제품을 생산하는 곳이 4곳, 비료의 주성분이 미달한 제품을 생산한 곳이 11곳으로 드러나 최박사가 논문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뒷받침했다.
 한편 최 박사는 논문에서 유럽의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퇴비 생산과 품질관리 제도를 자세히 소개하고 있어 이날 심포지엄에 참석한 토론자들은 이들 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안정성 평가와 품질인증제도 같은 제도 도입이 시급히 검토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지건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