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축의 주요 도시들이 비슷한 개발계획을 들고 나와 과잉·중복 투자가 우려된다. 17일 열린 제1회 서해안포럼에 참여한 인천, 경기, 충남, 전남, 전북 등 서해안시대 주요 거점 시·도는 모두 신항만개발계획을 들고 나왔다.
 해양수산부가 오는 2031년까지 추가하거나 신설하는 항만 확충계획을 근거로 자기 지역에 항만사업을 중심 산업으로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인천의 경우 북항을, 경기도의 경우는 평택항, 충남은 보령신항만, 전북은 군장신항과 새만금항, 전남은 목포신항을 개발해야 한다는 나름대로의 타당성을 들고 나왔다.
 그러나 이들 주장의 근거는 지자체간 차별화되지 않는 논리를 갖고 있다. `중국과 가장 가까운 지정학적 위치다"", `수심이 깊어 대형선박 접안이 가능하다"", `현재의 시설로는 앞으로 증가할 대중국 물동량을 감당할 수 없다""는 등의 근거였다.
 시·도 연구원의 이같은 아전인수식 논리에 일부 토론자들이 제동을 걸었다.
 `서해안시대의 국가발전전략""을 주제로 한 토론에서 토론자로 나선 김용환 교수(호원대)는 “새만금 매립사업이 환경단체의 반발에 부딪혀 새만금신항만 건설계획도 보류된 상황에서 새만금신항만을 서해안의 중추 항만으로 건설해야 한다”는 지역발전연구원의 발표는 현실을 되돌아 보지못한데서 오는 오류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군장산업단지가 아직 조성사업이 마무리도 안돼 업체들의 입주가 이뤄지지 않았고, 그것도 경제적 타당성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해안의 대표 항만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논리는 지역이기주의로 비춰질 수 있다고 꼬집었다.
 이정식 국토연구원장은 “서해안은 세계 항만구도로 볼 때 대형 선박의 항로가 아니어서 항만신설이 오히려 경쟁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며 “국내에서 가장 많은 대중국 여객항로를 갖고 있는 인천의 경우도 단순한 항만시설 확충보다는 수요관리측면에서 대중국 여객항로를 특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정환기자〉
hi21@incho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