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의 거래질서를 교란시키는 고질적인 병폐중 하나가 일부 중간상인들의 농간에 있음은 새삼스러운 설명이 필요치 않다. 농산물 거래 질서가 엉망인 것은 유통구조가 전근대적인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농민의 입장에서나 소비자인 시민의 시각에서도 이렇다할 개선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
 우리가 선진국에서 배워야 할 것은 중간상인들의 농간이 이루어질 수 없고 존재할 수도 없다는 점이다. 문제는 거래질서를 바로잡는 유통개혁이 하루 빨리 실현되지 않고서는 중간상인들의 가격 올리기, 사재기 등 악덕 상행위가 더욱 기승을 부리고 교묘해질 뿐 아니라 그 틈새에서 농촌의 피폐화가 가속될 것이라는 데 있다. 이런 관점에서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직거래 장터가 활기를 띠고 있다는 것은 다행스럽다.
 보도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6월말까지 부천, 평택, 군포 등 경기도내 6개 농산물 직거래 장터의 판매실적이 5천8백5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실적 4천14억원보다 무려 46.3%나 증가한 수치이며 이러한 추세라면 올해안에 1조원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농산물 직거래 실적이 갈수록 늘어나는 것은 저렴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구매하려는 소비자와 제값 받고 출하하려는 생산자들이 직거래 장터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뒤늦기는 했지만 골 깊은 불신으로 생산 원가도 건지지 못해 고통받고 있는 농가에 한가닥 위안을 주고 있다. 당국은 직거래 장터를 늘리고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를 확대하는데 계속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차제에 다시 강조하거니와 그동안 수입농산물이 농약 과다 검출 등으로 수없이 문제가 제기돼 왔다. 외국 농산물을 국산으로 속여 파는 악덕 상혼이 기승을 부리고 있으며 외국산 불량 먹거리는 국민건강을 크게 위협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같은 불법 유통행위에 대한 단속강화를 계속 추진할 필요가 있다.
 농촌 경제가 여러가지 구조적 요인으로 해서 어려워지고 있는 요즘이 농촌과 도시가 진정으로 협력할 수 있는 기회다. 직거래 장터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