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들어 첫 정부조직개편안이 당·정·청협의에서 결정됐다. 무엇보다 먼저 해양경찰청 부활이 정식으로 채택됐다. 인천시민들에겐 반가울 수 밖에 없는 얘기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마냥 즐거워만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해경청은 본래 인천에 있었으며, 그 역할도 충분히 해냈다. 그러다 전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일방적으로 공중분해됐으며, 또 현 대통령의 후보시절 공약으로 부활되는 운명을 맞고 있다. 시작과 끝이 모두 정치권의 입맛에 따라 운명이 결정되는 모습이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지금부터다. 문재인 대통령은 해양수산부 장관에 부산 출신의 3선 의원인 김영춘 의원을 내정했다. 인천지역의 항만·해양 관련자들은 모두 우려의 목소리를 감추지않고 있다. 김영춘 의원은 부산의 해양수도론을 부르짖는 대표적인 정치인이다. 대선이 끝난 뒤에는 모 방송에서 "해경은 인천에 주고 해사법원을 부산에 가져와야한다"는 이야기로 인천지역 관계자들을 바짝 긴장시킨 인물이다. 김 의원이 해수부 장관에 임명될 경우 해수부 산하기관은 물론 항만관련 업체들까지 부산으로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인천지역 관계자들의 우려다. 실제로 부산시는 극지연구소 등의 부산이전을 공공연히 주장하며 중앙정치권을 움직이려하고 있다.

인천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할 때가 됐다. 300만 인천시민 모두의 힘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인천시정부와 지역정치권의 역할이 중요하다. 시정부든 지역 정치권이든 모두가 인천시민들을 바라보고 행동해야하는 위치에 있다. 최근 여·야·정협의체 조차 꾸미지못할 정도로 시정부와 정당들이 반목하고 있다고 한다. 여기에 시민단체와 시가 참여하는 소통네트워크에서는 일부 시민단체가 빠지려한다는 얘기도 돌고있다. 타 지방의 도전이 거세지고 있는데 인천은 오히려 저 마다의 사정에 따라 방향을 잃은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 적전분열은 바로 이런 것이 아닌가싶다. 내년이면 지방분권형 개헌이 어떤 식으로든 이루어진다. 부산이 최근 부쩍 해양관련 기관과 기업들의 부산 집중화에 주력하는 이유를 생각해볼 때이다. 정치권도 시민사회단체도 제 역할에 충실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