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지역사회가 녹색도시 인천을 집적화할 수 있는 탄소배출권거래소의 인천 이전을 요구하고 나섰다. 문제는 탄소배출권거래소에 관심이 없는 인천시의 저자세와 녹색기후기금(GCF)과 연계된 녹색 사업의 필요성이 아직도 제자리 걸음을 걷고 있다는 점이다.

24일 한국거래소(KRX)를 비롯해 관련 업계에 따르면 탄소배출 거래권 가격이 지난 3월 평균 t당 2만원을 웃돌고 있다. 탄소배출권은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제22조에 따라 지난 2015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배출권거래소는 부산에 본사를 둔 한국거래소로 지정됐다. 배출권 거래소는 배출권 거래시장의 개설·운영, 매매·경매, 청산·결제, 시장감시 및 매매와 관련된 분쟁의 자율조정 등을 벌인다.

청정개발체제사업으로 2016년 현재 5222개 업체인 국가 온실가스 방출업체에 감소 할당량을 배정해 감소 할당량 이상 배출 업소는 배출량에 여유가 있거나 숲을 조성한 업체로부터 탄소배출권을 사야 한다.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기업이 정부로부터 할당받은 배출권 범위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부족할 경우 시장에서 사도록 하는 제도이다.

GCF 본부도시인 인천은 미래 환경 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르는 탄소배출 거래권 거래소 설치에 그동안 손을 놨다. 유치전이 치열하던 2009년 당시는 물론 이후에도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

이에 인천상공회의소와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에서 발표한 '인천시장께 드리는 인천경제주권 의제(어젠다)에 '탄소배출권거래소 인천 이전'을 포함시켰다. 인천상의 등은 "GCF 본부도시인 인천으로 탄소배출 거래소를 이전해 인천이 세계 환경수도로 거듭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제서야 이전을 요구하는 '인천'에 비해 지난 2014년 탄소배출 거래소를 유치한 '부산'은 이를 통해 환경도시에 더해 금융시장 중심지로 발돋움을 서두르고 있다. 부산발전연구원은 "배출권거래소를 통해 부산이 파생특화 금융중심지 정책 추진 및 활성화가 기대된다"며 "저탄소도시 부산 조성을 위해 환경친화적 도시를 지향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