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지수란 소비재 또는 생산재 등 특정한 범위에 속하는 상품의 가격을 종합해 평균한 수치다. 물가가 상승하면 화폐가치는 하락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물가의 급격한 상승은 경제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론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큰 부담을 안겨주게돼 있다.

 통계청이 분석한 올 1~3월 물가동향에 따르면 올들어 인천지역의 물가 오름폭이 전국에서 가장 크고 경기도의 경우도 전국 평균치를 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특히 서울 인천 등 7대 도시와 29개 지방 중소도시 등 전국 36개 도시중에서는 수원이 작년 동기 대비 최고의 상승률을 기록, 인천과 경기도 지역의 물가상승폭이 심상찮은 상황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올 전국 평균 소비자물가상승률은 4.2%인데 인천은 4.7%, 경기도는 4.3% 올랐고 수원은 무려 5.0%로 집계됐다.

 인천과 경기 지역의 이같이 급격한 물가상승은 지역경제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가뜩이나 대우자동차 사태 등으로 위축될대로 위축된 인천· 경기지역의 물가가 이처럼 뛰는 것을 시민들은 이해하기 어렵다. 농수산물 등 소비재물가와 공공요금의 인상 등을 주원인으로 풀이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다른 지역도 비슷한 상황일 것이라는 점에서 시민들은 답답해 한다. 수도권지역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물가비상의 이면에는 다른 요인도 적잖을 것이다.

 우선 인천시와 경기도 당국은 물가관련부서 합동대책회의를 열어 물가앙등의 제반 요인을 점검하는 한편 장기적인 물가억제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물가는 처음부터 잡아나가야지 한번 뛰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게돼 붙잡기가 어려워진다. 올해 우리 경제는 물가의 경우 전반적으로 심상찮은 모습을 보이고 있어 정부에서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 등 해외경제변수가 우리 경제에 안좋게 돌아가고 있고 현대와 대우사태 악재가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는 가운데 물가의 이상상황은 국민을 공황(恐慌)심리로 몰아갈 수 있다. 때문에 물가의 이상징후가 발견된 지금 이 시점에서 인천시와 경기도 당국은 물가 안정대책을 진지하게 모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