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출혈을 일으키는 대장균인 O-157균에 감염된 환자가 국내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보건복지부는 복통^구토 등의 증상으로 서울대병원에 입원했던 김모군(7)의 가검물을 정밀검사한 결과 병원성 대장균 O-157 감염에 의한 환자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국내서 식품 등에서 O-157균이 검출된 적은 여러차례 있었으나 환자가 확인된 건 처음이어서 이제 우리나라도 더이상 O-157균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문제는 O-157균 환자가 처음 발생한지 20일 가까이 지나서야 국립보건원에 확인을 의뢰하는 등 발병보고 체계가 극히 허술했다는 점이다. 중앙역학조사반이 정밀역학조사에 나섰으나 오염식품의 현장보존이 안돼 감염경로 추적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감염경로를 밝혀 대책을 세워야 할 방역당국이 속수무책이라면 문제는 심각하다.

 우리가 O-157균에 의한 피해가 별로 없다해서 결코 방심하거나 안일하게 대처해서는 안될 일이다. O-157균은 일반 식중독균 보다 독성이나 전염성이 강하고 특히 어린이나 노인에게 감염되면 치명적 증상이 나타나 신속^정확히 감염경로를 밝혀내 확산을 막는게 급선무다. 그런데도 우리의 방역체제는 너무 허술하다는 지적이 많다. O-157균은 지난 82년 미국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일본에서는 지난 96~97년 1만2백여명이 발생, 14명이 사망했다. 따라서 일본은 O-157균 식중독을 법정전염병으로 지정, 교육^홍보에 치중하며 철저히 관리하고 있는 점을 볼때 결코 가볍게 보아 넘길 일이 아니다.

 최근 학교나 직장^단체 등의 집단급식이 활발해지면서 집단식중독 사고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집단 급식에 따른 철저한 위생관리와 식품검사가 강화돼야 함도 물론이다. 더욱이 농축산물의 수입이 전면 개방되면서 외국산 수육의 수입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데도 우리의 방역체제는 여전히 허술하다. 방역은 철저한 검사와 빠르고 정확한 신고체제를 갖춘 검역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나라경제가 어렵더라도 선진국형 방역체제를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