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개발 한계점 해소 … 도심형 첨단산단 발판
부평국가산업단지 토지 용도를 일반공업지역에서 준공업지역으로 변경하기 위한 절차가 진행된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주안·부평 구조고도화추진단은 일반공업지역으로 지정된 부평단지 토지용도를 변경하는데 필요한 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부평단지는 국내 산업 수출 진흥을 위해 수출산업공업단지개발법에 따라 1965년부터 1969년 사이에 조성됐다. 전체 면적 61만㎡(약 18만4000평)인 부평단지는 IT산업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2000년부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입주업체는 134개가 전부였던 2000년보다 516%(826개) 늘었으며, 근로자도 1만4007명으로 75% 증가했다. 생산실적 역시 251% 많아진 2878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이처럼 5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부평단지에서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변하지 않은 것이 한 가지 있다. 바로 토지이용계획이다. 부평단지와 부평GM은 토지이용 계획상 일반공업지역이며, 이들을 둘러싼 주변 지역은 준공업지역이다.

일반적으로 토지이용계획은 국토계획법에 따라 도시관리계획으로 5년마다 변경되거나 보완된다. 산업단지의 경우 산업입지법에 따라 개발계획이 적용되기도 하지만 부평단지는 50년 동안 한 차례 변경도 없었다.

문제는 조성 당시 도시 외곽에 자리 잡았던 부평단지가 현재 도심 한복판에 위치하게 된 점이다.

긴 시간 토지이용계획이 유지되면서 일반공업지역인 부평단지와 부평GM 지역 건축 밀도가 주변 준공업지역의 건축 밀도를 역전하는 현상이 발생했다는 게 추진단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에 구조고도화추진단은 서울디지털단지와 같이 부평단지 토지용도를 준공업지역으로 변경해 도심형 첨단산업단지로 발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방침이다.

추진단은 부평단지 토지용도가 변경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민간 투자를 유치하고, 고밀도화되고 있는 건축물과 토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추진단 관계자는 "현재 부평단지는 도심에 위치해 토지 가격이 높아 공공에서 개발하는 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준공업지역으로 변경될 경우 공개공지를 이용해 용적률을 확보하면 민간 투자 유치로 이어질 가능성도 충분하다"며 "서울디지털단지처럼 민간주도 산업센터가 확산되면 장기적으로 부평단지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만큼 용도 변경에 필요한 용역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성원 기자 csw0405@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