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5·31 전당대회에서 이회창 총재가 재신임 받음으로써 이 총재 중심의 당내 세력구도 재정비작업이 한층 탄력을 받게 됐다.

 이 총재 체제의 강화에 맞서온 비주류 세력의 한계가 이번 경선을 통해 드러났고, 「이 총재만이 유일한 대안」이라는 당내의 일반적 인식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총재는 그동안 제기돼왔던 당내 일각의 거센 비판여론을 「당내 민의」로 잠재울 수 있게 된 동시에 차기 대선고지를 향한 행보를 가속화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게 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이 총재가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우선 당내의 경선후유증을 잡음없이 수습해야 한다.

 이번 총재 경선에서 30% 이상을 획득한 비주류 세후보를 어떻게 예우할지, 선출직 부총재들과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해나갈 것인지에 대해 당내 이목이 쏠려있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또한 DJP 공조복원으로 인한 「여소야대 양당구도」 변화 조짐도 잘 대처해야 한다.

 그 첫 시험대는 16대 원구성과 맞물리게 될 당직개편이 될 것이라는데 별다른 이견이 없다. 화합형 당직인선이 이뤄질 것인지 혹은 친정체제 강화인선이 될 것인지에 따라 이 총재에 대한 당내 시각에 냉온이 극명하게 교차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관련, 이 총재는 경선과정에서 비주류 후보측의 집중적 공격을 받았던 「포용력」의 시험대에 올라있다. 이 총재가 비주류 세후보에 대한 적절한 역할공간 부여문제를 놓고 고심중인 흔적이 여러경로로 감지되고 있고, 총무경선 과정에서의 「이심(李心)」 작용 논란이 일고 있는 것도 이 총재가 이미 전대이후의 문제에 대한 깊은 검토에 착수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정황증거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차기 당직인선은 「중진 예우, 소장 전진배치」의 절충형이 되리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지역별 지명도와 영향력이 있는 당내 중진인사들을 적절히 안배하면서 기획이나 정책 등 부문별로 강점이 있는 신예 소장파 측근세력을 요소에 배치함으로써 「화합과 효율」을 동시에 도모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다.

 대여관계 설정에서도 정교한 대응이 요구되기는 마찬가지이지만 이 총재 「2기체제」의 안착을 위한 시간을 벌고, 특히 남북정상회담 및 전대 준비과정에서 여권에 넘겨줬던 정국 주도권 「탈환」을 위해 당분간 강도높은 공세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차기 대권주자로서의 이 총재와 한나라당의 이미지를 감안, 공세일변도가 아니라 철저한 전략적 고려의 토대위에서 치밀한 완급조절이 병행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대여관계의 기상도는 기본적으로 민주당-자민련간 공조복원 등 정계개편의 향배와 밀접히 맞물리게 될 것이라는데 이견이 없다.

〈최창민기자〉 cmchoi@incho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