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물가가 심상찮다. 물가가 오르면 겨우 회복 국면에 접어든 우리 경제에 찬물을 끼얹는 것과 같은 결과를 초래한다는게 상식이다. 인천시내 상수도요금이 지난달 말부터 평균 22~41.7% 인상됐다. 상수도 요금 인상으로 그친다면 그래도 괜찮겠으나 상수도요금에 이어 목욕료, 이발요금이 연쇄적으로 올랐다는 것이다. 목욕요금은 상수도요금이 오르자 지난 5일부터 3천원에서 3천5백~4천원으로, 그리고 이발요금은 8천원에서 9천~1만원으로 각각 인상, 서민들의 부담을 가중시켜버렸다. 이뿐만 아니다. 앞으로 시내버스, 지하철 등 각종 공공요금이 잇따라 인상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천시의 이같은 인상러시가 이어질 경우 서민의 가계부담은 한층 무거워질 것이고 이러한 요금의 동시다발적인 인상이 끝내는 생필품의 가격인상을 부추길 가능성이 있다는데 문제가 적지 않다고 보여진다. 현재 빠른 속도로 경기가 회복되고 있는 상황에서 물가가 들먹거린다는 것은 자칫 인플레구조를 심화시켜 국제수지를 다시 나쁘게 만들 소지도 없지 않다. 부동산가격은 물론 임금 등 모든 분야에 걸쳐 다각적인 관리와 시장안정을 동시에 도모하지 않으면 물가 오름세 압력이 의외의 경제교란 요인으로 작용할지 모른다.

 정부 관계자는 「선거를 치르면서 인플레 기대심리가 확산된 점을 감안해 우리경제의 안정 성장기반을 확고히 다지는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런가하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당초의 3%에서 2.5%로 낮춰잡고 통화정책도 물가안정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신축적으로 수행키로 했다는 것이다.

 물론 현 단계에서 아직은 요금인상러시가 심각한 상황은 아니지만 이러한 인상러시가 지속된다면 앞으로 물가상승 압박이 크게 높아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이런 측면에서 당국의 낙관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물가를 잡을 수 있으며 경기의 활력이 지속된다고 낙관만 하는 자세는 자칫 경제전반을 흐트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공공요금을 올리는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인천시는 말할 것도 없고 기초자치단체들도 공공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 아주 불가피한 것만을 현실화하는데 그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