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원화가치가 높아지는 환율 절상시 일본, 대만 등 주요 경쟁국보다 기업의 채산성이 더 나빠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국, 일본, 대만의 환율변동과 기업 채산성의 관계를 비교한 결과 3개국중 우리나라가 환율변동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1~97년 연간자료를 이용해 추정했을때 우리나라는 원화가 미달러화에 대해 10% 절상(절하)되면 제조업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이 7%, 이중 수출기업은 16%정도 하락(상승)했다.

 이에 반해 일본과 대만은 그 나라 통화가 미달러에 대해 10% 절상될 때 제조업매출액 영업이익률이 각각 2% 및 5% 하락하는데 그쳤다.

 또 우리나라 수출가격은 원화가치가 10% 절상될 때 당해분기에 8% 상승하는 반면 10% 절하될 때는 당해 분기 1.4%, 다음분기 2.5% 등 3.9% 하락해 원화절상기의 가격전가율이 원화절하기에 비해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원화절상기에 크게 악화된 수출상품의 가격경쟁력이 원화절하기에도 별로 개선되지 못함으로써 원화가 절하되더라도 그 효과가 가격경쟁력 강화를 통해 장기화되지 못하고 단기적인 채산성 개선에 그치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엔화가 미달러화에 대해 10% 절상될 때 수출가격이 단기에 2% 상승하고 절하될 때도 동일한 폭으로 하락했으며 대만 역시 환율 절상 및 절하기의 수출가격전가율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와함께 우리나라는 수입대체가 어려운 원자재 및 자본재의 비중이 높아 환율변동시 수입품과 국산품간의 상호대체를 통해 제조원가를 절감하거나 제조원가 상승부담을 완화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