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조직이든 그 운영의 요체는 人事(인사)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흔히 「人事(인사)가 萬事(만사)」라는 말을 자주 한다. 더욱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은 공정하고 신상필벌위주의 투명한 인사가 이루어져야만 공직사회의 부패나 비리가 척결되고 국민의 신뢰를 받을 수 있다. 그렇지 못하고 지연이나 학연 등을 내세운 정실인사가 판을 칠 경우 과거 지탄받던 공직사회의 타성과 구습은 단절될 수가 없다.

 민선단체장 출범이후 인천시 본청과 구·군간의 인사교류가 급격히 줄어 자칫 정실인사나 공무원비리 등 부작용이 따를 것으로 우려된다는 보도다. 민선단체장들이 선거를 의식, 자기 인맥의 공무원을 승진시키는 인사가 잦아지고 승진적체가 있는 본청의 전입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인사는 단순히 자리메움이 아니다. 인사교류를 통해 공직사회가 의욕적인 분위기를 쇄신할 수 있으며 비리가 생길 소지를 차단할 수 있다. 공직사회의 부패는 정실인사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우리는 과거 경험에서 잘 알 수 있다. 특히 인·허가부문 등 민원분야에 비리·부정의 소지가 많다는 점에서 인사폭을 넓혀 체제를 자주 정비해야 한다. 그런데도 자치단체장이 자체 승진만을 고집하고 서열원칙을 무시한 학연관계의 직원을 승진시키거나 부당한 인사로 말썽을 빚는 것은 간과해선 안될 일이다.

 국민의 정부 출범이후 정부조직축소와 개혁 그리고 사정으로 공무원들의 자세가 새모습으로 바뀔것을 기대했으나 공직사회는 과거와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는게 일반적 평가다. 오히려 지연·학연 등을 따지는 정실인사가 공공연해 공직사회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줄서기·눈치보기에 급급하고 일하는 분위기는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고있다. 지방인사행정의 허점과 인사체계가 허술한데서 구조적인 구태나 비리가 사라지지 않는 것이다. 편중인사는 기강해이를 가져오고 공무원의 사기를 떨어뜨린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정치가 표류하고 나라경제가 어려울 때일수록 공직자들이 나라와 국민을 자킨다는 사명감으로 본분에 충실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도 신상필벌의 인사원칙이 적용되어야하며 활발한 인사교류가 이뤄져야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