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총리에게는 엄격한 도덕성이 요구된다. 올바른 교육을 통해 국가의 백년대계를 꾸리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다른 부처 장관들과는 달리 관련 부문에 대한 전문지식과 혜안(慧眼)뿐 아니라 스스로 모범된 인성(人性)과 삶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다양한 목소리와 새로 대두되는 가치관의 충돌속에서 청소년들이 미래를 설계하고 만들어 갈 수 있는 지식과 바른 품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전교조 등 교육관련 집단들간의 충돌 등 여러 사회현상을 조율하고 정리하고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이끌수 있는 능력도 갖춰야 한다. 그럴려면 본인 스스로는 물론 객관적인 평가에서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서는 안된다. 모든게 완벽할 수 는 없지만 적어도 언론과 시민사회단체들의 집중적인 비난의 대상이 돼서는 곤란하다.
김병준 교육부총리는 논문 표절 등 학자로서 또는 공직자로서의 도덕적인 문제점이 들춰지고 있다. 일부는 본인이 잘못됐다고 사과까지 했다. 계속해서 의혹과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의 시민사회단체는 물론 야 4당, 그리고 일부 여당에서도 그의 문제점을 질타하면서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김 부총리는 사퇴하지 않고 있다. ‘대통령의 사람’이라서 그런지 몰라도 고집스러운 면이 많이 닮았다.
김 부총리로서는 억울한 면도 있는 것 같다. BK21사업 논문 중복 게재라든가 또는 연구비 중복 지원을 받았다는 문제라든가 하는 것들 중 일부는 학계의 잘못된 관행이라는 일부 지적도 있다. 그러나 관행이라서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남도 하는 것을 나도 했으니 별 문제가 없다는 식의 생각은 고위공직자로서 위험한 발상이다. 광주의 한 대학 보직교수가 논문 표절 의혹을 받고 최근 보직을 사퇴했다. 과거에는 그랬을지 몰라도 이제는 안된다는 생각을 갖어야 정상이다. 게다가 교육부총리라면 이같은 잘못된 관행을 근절하기 위해서라도 본인의 잘못과 책임을 인정하고 장관직을 사퇴하는 것이 마땅한 태도다. 김 부총리 자신의 말대로 ‘오직 올바른 교육을 위해 헌신하겠다’면 말이다.
김 부총리에 대한 논문의혹 등에 대한 진위와 도덕적 법률적 책임과는 별개로 저간의 그의 태도도 볼썽사났다. 많은 의혹과 개인적 문제점들이 불거지면서 그는 이미 교육부총리로서의 소임을 다하기에는 너무 많은 상처를 입었다. 교육관계자들은 물론 국민들도 그의 말을 신뢰하지도 않고 있다. 그를 교육부총리로 여기는 분위기도 사라지고 있다. 사면초가(四面楚歌)인데도 그는 임명권자인 대통령의 입과 얼굴만을 바라보고 있다. 그러면서 버티는 모습이 옹색하기 그지 없다.
청문회장에서의 김 부총리는 더욱 소인배(小人輩) 모습이다. 국가의 백년대계를 책임지는 교육부총리로서 자격이 있는지 참으로 의심스럽다. 그가 청문회를 요구한 이유는 어처구니 없게도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란다. 그는 청문회에서 많은 변명과 이유를 댔다. 일부 여당 의원들은 김 부총리가 도덕적으로 법률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기 위해 안감힘을 쓰기도 했다. 김 부총리는 자신에게 쏟아지는 의혹과 질타에 대해 “밝힐 수 없지만 뭔가 저의가 있다”는 말로 ‘정치적 음해’로 연결지었다. 국민들까지 정치적 음해의 가해자로 몰고 있다. 그의 생각대로라면 ‘김 부총리는 전혀 문제가 없는데 언론과 시민사회단체, 일부 국민들이 정치적 저의를 갖고 공격하고 있다’는 형국이다. 착각과 오만속에서 아직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교육인적자원부는 할일이 태산이다. 공교육의 정상화, 하향 평준화문제, 외고 지역제한문제, 사립학교법 재개정문제 등 현안이 쌓이고 쌓였다. 도덕적 흠결이 없는 수장이 나서 조율하고 설득하고 추진해 나가도 쉽지 않다. 그런데 이처럼 문제가 많다는 인식이 팽배한 인사가 교육부총리직을 어떻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인가. 김 부총리는 자기를 임명해 준 대통령의 눈치를 볼 것이 아니다. 국민의 차가운 눈총을 더 두려워해야 한다. 그래서 당장 사퇴해야 한다. 그래야만 ‘대통령의 사람’중 그럴듯한 사람이라는 평가라도 받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