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좋은 먹거리라해도 유통기간이 지나면 인체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다. 특히 요즘과 같은 여름철에는 부패하기 쉽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요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유해식품이 여전히 시중에 나돌고 있으며 그것도 유명 음식점에서 유통기간이 지난 재료로 음식을 만들어 팔아오다가 적발되었다는 것은 개탄스러운 일이다.

 보도에 따르면 인천 송도유원지 주변 대형음식점과 남구 주안역 인근 레스토랑 등에서 만도 당국의 부정식품 일제단속에 걸려든 업체가 자그마치 31개소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이들 업체에서는 유통기간이 6개월이 지난 소시지를 비롯하여 버터, 빵, 베이컨 등을 몰래 사용한 혐의라고 하니 놀랍기만 하다. 만일 유통기간이 넘은 사실을 뻔히 알면서 고객을 속이고 사용했다면 상황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 몰라도 행위를 봐서는 악덕상인의 표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슈퍼 등 판매점에서는 우리가 정신을 똑바로 차려서 살피면 가려낼 수 있지만 그것이 재료로 혼합돼 쓰일 경우에는 눈으로 보고 코로 냄새를 맡아서는 식별할 수 없다는 점을 교묘히 악용해 왔다고 볼 수 있다.

 유통 기간이 지나면 즉시 폐기처분하거나 아니면 사료로 써야한다. 그런데도 돈벌이에 급급한 나머지 이를 뒷구멍으로 빼돌리고 식단에 오르게 된다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불량-부정식품에 불감증이 걸릴 만큼 식품공해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수입개방으로 식료품이 물량과 품목에서 급증하고 수입국도 무제한으로 다변화될 전망이어서 강력한 대비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당국은 사건이 터질 때마다 불량-부정식품의 추방을 다짐해온 터이지만 비슷한 유형의 속임수는 사그라들 줄 모른다. 유통기간이 지난 음식을 잘못 먹다가 이 병원 저병원으로 실려다니다 숨진 경우를 보고 있다. 그래서 유해식품의 단속이 빈번하게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유통기간이 지나면 변질이 된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 이를 속여 팔면 이익이 된다는걸 알기때문에 단속의 손길이 늦춰지면 위장판매를 일삼아 들기 마련이다. 꾸준한 단속과 처벌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