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중국·일본에 매년 2~3명 파견
 인천시가 주변국과 교류 협력을 위해 매년 수억원의 예산을 을 쓰고 있는 ‘재외파견공무원근무제도’가 겉돌고 있다.
 기초적인 어학 능력도 없는 직원들을 현지에 파견하는가 하면, 업무계획서 작성조차 하지 않아 ‘시민 혈세로 공무원 어학연수를 보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2일 시에 따르면 교류 증진을 위해 시가 중국, 일본 등에 1년 이상 파견하는 공무원은 매년 2∼3명에 이르고 있다.
 시는 이들의 체재 수당으로 매달 일본 240여만원, 중국 150만원 등을 지급하는 등 올해에만 2억800여만원을 공무원재외파견근무예산으로 책정했다.
 문제는 교류 증진을 위해 시민의 혈세를 지급하고 있는 해외 파견 공무원들의 주 업무가 어학능력 증진에 그치고 있다는 점이다.
 1년 이상 파견국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데도 활동계획서가 없는 것은 물론 그 흔한 연간 업무실적 하나 없는 실정이다.
 게다가 교류 협력을 위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어학 능력도 높지 않다는 게 전·현직 파견 공무원들의 전언이다.
 실제 해외국에 파견을 다녀왔다는 모 공무원은 “일상 대화를 하는 것도 힘든데 회의나 업무를 맡는 것은 무리다”며 “신문 기사를 읽는 것도 한국 통역관의 도움이 있어야 한다”고 털어놓았다.
 해외 파견 공무원들이 뚜렷한 성과가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당연해 보인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가까운 일본의 경우 지난 17년간 11명의 시 공무원이 현지 교류협력요원으로 다녀왔으나 ‘현지에서 어떤 일을 했는지’는 실적이 전혀 남아있지 않다.
 ‘시민의 혈세로 공무원 어학연수 시킨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시는 이에대해 “파견국에 직원들이 상주해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모을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기초적인 의사 소통조차 못하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정보 수집이 가능한지 의심케 할 뿐이다.
 시 관계자는 “어학 공부도 하면서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의의가 있다”며 “사실 사업을 달성하기 위한 제도라기 보다는 친목도모의 성격이 강하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중국의 산둥성 및, 연대, 대련시, 일본 기타규슈시 등과 자매결연을 맺고 교류 협약에 따라 공무원을 상호 파견하는 ‘재외파견공무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박인권·소유리기자 (블로그)rainw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