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학교 공원화사업' 추진 이유와 과제
 인천시가 추진하게 될 ‘학교공원화사업’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녹지공간을 확보하기위한 필요성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사업의 원할한 추진에는 무엇보다 학교당국과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인천의 1인당 녹지면적은 61.9㎡로 6대도시 평균 84.5㎡의 73%이며, 대전의 119.1㎡에 비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이처럼 시민들의 녹지 공간은 절대적으로 부족하나 인천의 여건은 그리 좋지 못하다.
 항만과 국제공항을 끼고 있어 타 도시처럼 도시 확장 여력이 충분치 않은데다 수도권에 위치해 인구 흡입력이 높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인천의 특성을 감안, 녹지 공간 확충의 대안으로 거점공원 육성을 제안해 왔다.
 일산 호수공원과 같은 대형 공원 조성이 어려운만큼 주택가 및 도심 구석구석에 수천평∼수만평의 중·소공원을 육성해 시민들의 녹지 공간을 제공하자는 것이다.
 이는 또 시가 추진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 등과도 연계가 가능해 ‘시민 삶의 질 향상의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학교공원화 사업은 거점녹지공간을 확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사업 대상지인 대부분의 학교가 도심 주택가에 위치한데다 학교 운동장을 활용할 경우 공원 부지난을 자연스레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교공원이 조성될 경우 주민들은 도심속 녹지 공간을, 학생들도 자연생태학습장 활용이 가능해 진다.
 또 학교 주변의 녹지 공간을 점차 확대할 수 있는 거점 녹지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향후 도시재생사업 추진에도 적지 않은 역할을 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러한 장점에도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학교장 및 교감 등 학교관리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일이 시급하다.
 녹지공간 조성 및 학교 개방에 따른 시설물 관리, 치안 유지 등의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에서다.
 실제 인천보다 먼저 사업에 착수한 서울의 경우, 학교 관리자인 교장 및 교감들의 반대로 사업 착수를 하지 못한 곳이 상당수에 달했다.
 관리자들은 주민들의 휴식 공간 제공이라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학교 개방에 따른 마땅한 관리 대책이 없었던 것이다.
 경찰 및 학교, 지역사회와 연계한 종합적 공원관리대책 수립이 필요한 이유다.
 시민들을 위해 학교의 일부분을 제공하는 만큼 주민 및 당국도 이에따른 치안대책 등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일부 학교에서 시범 공원화 사업을 추진한 결과 주변 시민들의 반응이 아주 좋았다”며 “일부 학교에서 우려하는 부분을 충분히 협의·보완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박인권기자 (블로그)p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