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햇 동안 인천에서 벌어지는 축제중 5년 미만의 신생축제가 절반을 넘는데다 대부분 관광성 행사이거나, 전통문화를 소재로 하고 있는 등 차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제 장소도 중구와 강화군에 집중됐다.
 인천문화재단이 25일 오후 2시 인천 YMCA 회관 강당에서 연 ‘지역 네트워크 축제 포럼’에서 인천문화재단 이현식 사무처장은 “재단이 시와 구·군 등 자치단체와 민간단체가 주관하는 지역축제를 전수 조사한 결과, 올 한해 인천에서 31개의 축제가 열렸다”고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로 15회를 맞는 월미축제 등 10년이상 지속돼온 축제는 6개로 전체의 19%에 머물렀고, 5∼10년이 8개(25.8%), 5년미만이 17개(54.8%)로 집계됐다. 이 사무처장은 “신생축제는 대부분 지자체 전면 실시 이후 생겨난 행사로, 최근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시가 2004년을 기준으로 문화관광부에 공식보고한 지역축제 수는 25개로, 3회 이하가 16개, 5회 이상이 6개로 나타났다. 전체 축제 예산은 35억3천500만원으로 이를 위해 시는 17억1천만원, 자치군·구는 18억2천500만원을 지출했다.
 가장 많은 예산이 들어간 축제는 하늘축제 6억원이며, 다음이 부평풍물축제 4억5천만원이다. 가장 적은 예산은 민간축제중 강화도 선원사의 논두렁 연꽃축제가 1천200만원이 들어갔다.
 분포도를 살펴보면 중구에서 13개, 강화군에서 5개가 각각 진행되는 등 절반이상이 양 지역에 집중됐다. 이 사무처장은 “중구와 강화군은 문화관광자원이 풍부한 곳으로 이런 자원을 적극 활용해 컨텐츠로 연결하고 있다”며 “이는 국내 대부분 축제의 성향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축제를 지역경제 활성화에 연결시키겠다는 전략의 결과”라고 분석했다.
 시기도 절반이 10월에 열리고, 4월에 4개, 9월에 5개가 열리는 등 집중현상이 두드러졌다. 1∼3월, 6월에는 한 건도 열리지 않았다.
 축제의 진행 주체도 위원회 등이 맡는 축제는 13개뿐, 나머지 18개는 별도 조직 없이 관련 기관이나 외부에 위탁해 치르고 있었다. 이 사무처장은 축제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고려할 경우 문제가 된다고 꼬집었다.
 그는 “축제는 전통적으로 향유자와 창조자가 분리되지 않는 공동체의 대동의식을 토대로 한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가장 중요한 관건”이라며 “그런데도 대부분의 지역축제가 주민들의 참여보다는 관광효과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겠다는 부수적 결과에 치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사무처장은 “관광성 축제는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 충분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만드는데 초점을 맞추는 등 성격을 특성화하고 전문화할 필요가 있다”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선 가장 먼저 인천시의 올바른 축제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주희기자 blog.itimes.co.kr/kimju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