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들의 지하철 이동권
 경기도의회 안기영 의원(경투위·한·안양 5)
 
 서울에 볼 일이 있어 갈 때면 승용차를 집에 두고 지하철을 이용한다. 종종 가는 길이지만 서울의 요즘 지하철 역에서는 작업 인부들의 빠른 발걸음이 눈에 띈다.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엘리베이터 설치 공사가 한창 진행중이거나 마무리 공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2001년과 이듬해엔 오이도역과 발산역에서 장애인들이 리프트 사용중 추락사고가 있었다.
 이는 기존의 장애인 편의시설이 시설 자체의 결함 뿐만 아니라 이용에 있어서도 많은 하자를 여실히 드러냈다는 점에서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이를 계기로 장애인들의 이동권에 대한 주위의 관심이 높아져 ‘장애인 이동권쟁취를 위한 연대회의’가 만들어졌다.
 서울시는 ‘저상버스도입 추진위원회’를 만든데 이어 2004년까지 모든 지하철 역사에 엘리베이터 설치를 마무리하겠다는 장애인 복지정책을 적극추진하고 있다.
 경기도 역시 장애인 이동 편의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장애인들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도가 내놓은 ‘경기비젼 2006’에는 휠체어 리프트 버스 확대, 장애인 콜 승합차 및 택시 확대, 시각장애·농아인 심부름 차량 확대, 저상버스 도입 등이 포함돼 있어 장애인 복지를 향한 도의 행보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한가지 아쉬운 점은 도내 11개 지하철 역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겠다는 안이 제외돼 있어 장애인 복지에 목청을 높이는 도의 정책에 맥이 빠져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지하철 편의시설 사안이 도 업무와 무관한 때문이 아닐까. 그러나 경기도 안에 있는 장애인들도 편리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권리가 있다.
 비록 도의 고유업무는 아니지만 관련 기관과 협의를 통해 정부 지원을 끌어내거나 도 자체적으로 한 역사당 2억여원에 불과한 엘리베이터 설치에 따른 예산편성을 서둘러 장애인들의 ‘홀로서기’에 적극적인 도움을 줘야 할 것이다.
 앞으로 서울과 경기도의 모든 지하철역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면 서로 연계된 편의시설로 지하철을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이동이 훨씬 수월해질 전망이다.
 조사통계에 의하면 장애인의 65%가 집 밖 활동시 불편하다고 응답했고 불편한 원인으로 대중교통 수단을 응답자의 52%가 꼽았다.
 또한 이동이 자유로워야만 노동할 권리, 교육받을 권리,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는 권리 등 다른 사회적 권리도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대중교통의 원활한 이용이 장애인 복지의 기초가 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경기도는 하루속히 관계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도내 모든 지하철역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도록 관련 정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