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31~33세 대거 유입
시, 신혼 관련 부서·직원 부재
적극적 지원 타 지자체와 대조
▲ 평일 오전 7시쯤. 계양역을 거치는 87번 버스를 기다리기 위해 줄을 선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한 버스정류장 모습. 서구는 30대가 가장 많이 사는 도시 top 10 안에 들어간다. /사진제공=독자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인천시는 중매인으로 나선 적이 있다. 결혼 적령기에 진입한 공무원과 공항, 항만에서 일하는 공사 직원, 두산인프라코어나 셀트리온, 신한은행처럼 지역 유명 기업 소속 미혼 남·여까지 모두 158명을 모아다가 그해 9월 하버파크호텔에서 집단 맞선을 주선했다.

그리고 행사 직후 인천시는 당장 20커플이 탄생했다고 발표했다. 맞선 후에도 SNS 카페 운영, 등산모임 등을 통해 참가자들의 지속적인 만남이 형성되도록 'AS'까지 약속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그날 맞선 뒤 실제로 몇 분은 결혼까지 성공해 애 낳고 잘살고 있다”고 전했다.

인천시가 모처럼 만든 맞선 자리에 좋지 않은 시선도 있었다. 공무원, 공사·공단, 대기업 직원 등만 대상으로 해 결혼정보회사처럼 '계층 맞선'이라도 하자는 거냐는 부정적 여론이 형성됐다.

미혼들이 결혼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려고 했던 인천시의 맞선 행보는 '디테일'을 놓치면서 몇 해 가지 못하고 멈추게 됐다. 결혼 안 한다고 걱정했던 2013년 한 해 인천 혼인 건수는 1만8010건이었다. 지난해에는 1만849건까지 하락했다.

저출산 문제도 그렇지만 그 전에 미혼들이 신혼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부터 어려워 그런 걸까. 인천시 홈페이지에 '신혼'이라고 검색하면 관련 부서나 담당 직원이 확인되지 않는다. 부산이나 대전 등 다른 광역시에선 그나마 '신혼 주거 지원' 담당 부서나 직원이 안내되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특히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부터, 주거안정 지원정책 발굴, 다문화 신혼 가정에는 신혼부부교실까지 마련하는 서울과는 현격한 분위기 차이다.

국회미래연구원이 지난해 말 공개한 '청년은 어느 지역에 살고, 어디로 이동하는가?' 보고서를 보면 인천 서구엔 유난히 30대 초반 청년들이 살고 있다.

전국에서 20-24세 인구가 가장 많이 사는 동네가 경기 부천시이고 25-29세는 서울 관악구에 몰려 있는 데 반해 인천 도시들은 top 10에도 이름을 올리지 못하는 것과 달리, 30-34세, 35-39세 거주지에선 인천 서구가 전국 9위로 올라선다.

이는 학업과 취업 이슈로 서울로 몰려든 청년들이 자취 개념에서 발전한 주거 확립을 위해 수도와 가까운 서구 등 인천에 몰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기준 인천지역 평균 연령은 31-33세 사이니까 생애주기가 미혼과 신혼 경계에 놓인 청년들이 서울 혹은 경기에서 인천으로 넘어왔다는 뜻이기도 하다.

인천시는 올해 초 청년의 창업과 일자리, 주거, 복지를 주축으로 예산 1000억원을 반영하며 '2023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기획해 애를 쓰긴 했어도 밀도 있는 접근은 숙제로 남았다.

'미혼'과 '신혼'이 두 가지는 요즘 인천이 관심을 쏟아야 할 키워드라는 말이 나오는 배경이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은 “국회미래연구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7대 광역시 중 인천 청년 삶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며 “인천시 청년 정책 실제 체감이 어려워 '동상이몽' 격이다”라고 설명했다.

▶ 관련기사 : [인천, 수도권 2030을 품다] (하) 체감 어려운 청년정책…인천형 거듭나야

/김원진 기자 kwj7991@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 수도권 2030을 품다] (하) 체감 어려운 청년정책…인천형 거듭나야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은 지난주 '7대 광역시 중 최하위, 인천 청년 삶 만족도 냉랭' 제목으로 논평을 하나 낸다.최근 국회미래연구원이 인천과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에 사는 20~39세 청년층에게 삶의 만족도를 물어보는 연구를 진행했는데, 전 항목에서 인천이 꼴찌를 기록한 부분을 문제 삼은 것이다. 만족도 이전에 외로움과 우울감까지 1위라며 인천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시급하다고 꼬집었다. ▲청년 정책 인천시도 '열중'. 핵심은 인천 맞춤형 아이디어지난 2월 인천시는 시 청년정책 [인천, 수도권 2023을 품다] (상) '인천살이' 택하는 2030…맞춤형 정책 고민해야 지난 2~3년 동안 인천 20대, 30대 인구 변화의 핵심은 “그 숫자는 줄지만, 주는 속도가 다른 도시들보다는 느리다”는 데 있다.수년 전까지만 해도 청년 유입보다 유출이 컸던 서울, 경기와의 전출입 문제는 부동산 시장 급등기였던 2020년 말부터 상황이 변하더니 오히려 인천에서 수도권 '2030' 세대를 흡수하고 있다.중년 이상 인구 증가가 워낙 커서 20대, 30대 인구 호시절이 눈에 띄지 않을 뿐이지 인천살이를 선택한 이들을 위한 정책이 고민돼야 할 때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인천에선 행복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 [인천, 수도권 2023을 품다] (상) 몰려드는 청년들, 지금이 발전 기회 인천 주민등록인구에서 20대, 30대 비율은 해마다 줄어 이젠 25%대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 10월 통계 기준 인천 전체 인구 299만276명에서 '2030' 세대는 77만6503명으로 26.0%까지 떨어졌다. 2020년만 하더라도 인천 내 '2030' 비중은 27.4%였다. 3년 새 1.4%p가 쪼그라들었다. 바로 옆 서울에선 '2030' 세대가 100명 중 30명에 육박한다.인천 허리를 책임질 20대, 30대의 끊임없는 몸집 하락에서 떠오르는 단어는 크게 두 가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