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감학원 피해자 유해 보관장소
1차 시굴 1년 지나도록 결정 안돼

추모시설 아닌 선사문화연구원에
금속류 유물들과 함께 놓인 상태
▲ 지난 25일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 선감학원 유해 집단 암매장지에서 피해 유족들과 생존 피해자들이 발굴된 분묘를 바라보고 있다(왼쪽).한 피해 생존자가 현장을 바라보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오른쪽 아래). 현장에서 수습된 치아,진화위 관계자는 12~15세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한편 피해자 유골과 유품은 충북 청주에 위치한 한국선사문화연구원에 보관되어 있다. /김철빈기자 narodo@incheonilbo.com

지난해 발굴한 선감학원 피해자 유해들은 보관 장소가 정해지지 않아 1년이 넘도록 금속류 유물들과 함께 놓여 있는 상태다. 정부가 수십년전 구타, 강제 노역 등 국가로부터 심각한 인권침해로 숨진 선감학원 피해자들의 영혼을 달래주지 못한 채 갈 곳도 잃게 만든 셈이다.

▲ 한국선사문화연구원 4층 입구. 이곳 보존처리실에는 선감학원 사건 피해자들의 유해가 임시 보관되고 있다.
▲ 한국선사문화연구원 4층 입구. 이곳 보존처리실에는 선감학원 사건 피해자들의 유해가 임시 보관되고 있다.

30일 오전 충북 청주시 한국선사문화연구원 4층 보존처리실. 전면 유리로 된 항온항습장에 보관된 한 종이상자에는 안산시 단원구 선감동에서 발굴한 선감학원 사건 피해자들의 치아 278점과 단추 등 유품 34점이 들어 있었다. 긴 종이상자들과 아직 보존처리가 되지 않은 금속 고리단추, 탄창, 철촉 등 금속류들이 함께 보관되고 있었다. 선감학원 유해발굴은 지난해 9~10월과 올해 9~10월 두 차례 실시됐다.

12~15세로 추정된다고 알려진 이 피해자들은 사건 진실규명을 위해 지난해 처음 세상 밖으로 나왔지만, 별도의 추모시설도 없이 현재 발굴을 진행한 연구원에 꼼짝없이 갇혀 있다. 진실규명을 실시한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가 유해 안치에 대해 검토하지 않은 채 급하게 발굴했기 때문이다. 전면 유해발굴을 해야 하는 행정안전부와 경기도 모두 유해 안치에 대해 손 놓고 있다.

같은 공권력에 의해 피해를 입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유해의 경우 신원이나 유가족이 확인되지 않은 유해들은 세종시 추모의집에 임시로 안치돼 있다.

▲ 세종 추모의집 2층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추모관'에 안치된 유해들.
▲ 세종 추모의집 2층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추모관'에 안치된 유해들.

이날 오후 방문한 세종시 추모의집 2층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 추모관'과 확연히 비교됐다.

2층 추모관 문을 열고 들어서면 발굴장소 등이 적힌 안치유해 안내도가 보였고, 양쪽으로 안치실이 한 개씩 있었다. 안치실 내에는 2m가 넘는 대형 항온항습기와 36개의 안치장이 있었다.

각 안치장에는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의 유해 3900여구가 순저지(가장 얇은 한지)에 고이 싸여 불투명한 플라스틱 상자에 분류돼 보관되고 있었다. 연구소에 방치되고 있는 선감학원 피해자 유해들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었다.

유해 수습에 책임이 있는 행정안전부나 경기도가 유해 안치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어, 선감학원 피해자 유해들은 언제까지 연구소에 임시 보관될지 미지수다.

연구원 관계자는 “보통 유해 발굴은 연구원에서 보관하다가 보고서 작성이 끝나면 빨리 인계한다”며 “선감학원 발굴 관련 2차 보고서는 내년 1월까지 작성할 계획인데, 1차 유해들을 포함해 진실화해위원회에서 이관 장소를 정하지 않아 어떻게 될지 모른다”고 했다.

이와 관련 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선감학원 피해자 소송 대리인단(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등 시민단체 관계자 10여명은 이날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선감학원 피해자 유해·유품 보관 방법을 전면 개선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작년과 올해 발굴된 유해와 유품은 발굴을 진행한 위탁업체에 임시 보관된 상황이다. 유해는 진실규명의 단서가 되는 소중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대책이 없다”며 “정부, 경기도가 추모시설 마련 등의 대책을 세울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선감학원은 1942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군인 양성을 위해 안산시 선감도에 설립해 운영한 시설이다. 해방 이후인 1946년부턴 경기도가 시설을 인수해 1982년 9월까지 부랑아 수용시설로 사용했다. 이곳에 수용된 5000명 이상 아동은 구타와 강제 노역 등 심각한 인권 침해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공식적인 선감학원 원생 사망자는 24명이지만, 진실화해위원회는 유해 발굴을 통해 더 많은 사망자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 기사 : 선감학원 유해·유품 '추모시설' 마련 촉구

/정해림 기자 sun@incheonilbo.com



관련기사
선감학원 유해·유품 '추모시설' 마련 촉구 '선감학원 사건' 희생자의 유해·유품이 공공시설이 아닌 민간에서 보관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시민사회단체가 대책을 마련하라며 목소리를 높였다.▶관련기사 : [뉴스 인사이드] 선감학원 시굴 유해, 관계 기관 '나 몰라라'30일 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정평화아카데미, 선감학원 피해자 소송 대리인단(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수원시민단체협의회, 안산시민네트워크 등 단체 관계자 10여명은 30일 오전 10시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 진행 중인 발굴작업과 관련해 우려를 표명했다.이어 [뉴스 인사이드] 선감학원 시굴 유해, 관계 기관 '나 몰라라' 진실화해위원회가 지난해부터 두 차례에 걸쳐 시굴한 ‘선감학원 사건’ 유해들을 민간 연구원에 임시로 맡겨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해시굴을 한 진실화해위는 물론 전면 유해발굴을 해야 하는 행정안전부와 경기도 모두 유해 안치에 대해 손 놓고 있다. ▲유해 시굴만 하고 안치는 ‘나 몰라라’29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지난해 9월 선감학원 유해 매장지로 추정되는 안산시 선감동 산 37-1(900㎡)에서 5기 분묘 대상으로 시굴했다. 시굴은 용역사를 통해 같은해 9월23일부터 10월21일까지 선감학원 피해자 유해, 세종 추모의집 이관 어렵다 진실화해위원회의 선감학원 피해자 유해에 대한 '세종 추모의집' 이관이 사실상 불가능할 전망이다. 추모의집을 운영하는 행정안전부와 세종시 모두 난색을 보여서다.▶관련기사 : [선감학원 유해 시굴] 세상 밖 나온 억울한 영혼들, 달래줄 곳 없다31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지난 20일 선감학원 피해자 유해 보존을 위해 행안부에 '세종 추모의집'으로의 임시 안치 협조를 요청했다.현재 추모의집 2층은 지난 2016년 행안부와 세종시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선감학원 피해자 유해 안치할 수 있을까 어디에도 안치되지 못하고 민간 연구원이 보관하고 있는 '선감학원 피해자 유해'에 대해 정부와 경기도, 안산시가 뒤늦게 논의를 시작했다. 이들 기관은 전면 유해 발굴도 내년 추가경정예산안에 사업비를 반영해 추진하는 방안을 계획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 선감학원 피해자 유해, 세종 추모의집 이관 어렵다9일 인천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행정안전부와 경기도, 안산시는 지난 3일 선감학원 피해자 유해 안치 문제 등에 대해 협의했다.선감학원 피해자 유해 안치 문제는 2기 진실·화해과거사정리위원회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