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식 '괴뢰부'에 노장 사상 담아
▲ 나식의 '괴뢰부'.

'괴뢰부(傀儡賦)'를 노래한 나식(羅植, 1498∼1546)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우리는 그의 사상을 '괴뢰부(傀儡賦)'를 통해 살필 수 있는데, 그는 꼭두각시 놀음이 고금의 특이한 예술이라고 소개하면서, 이를 통해 세상 사람들의 허황되고 망령됨을 희롱하였고, 세상 사람들이 꿈속에서 헤매고 있는 세태를 탄식하였다.

그는 천지는 세대를 번갈아 교대하는 여관(天地之逆旅)이라고 생각하였다. 헌원이 탁록에서 전쟁을 시작하고 사해 안에 수레와 문자를 보급한 이후 제순(帝舜)과 하나라의 우 임금과 탕 임금, 주나라의 무왕, 춘추시대, 전국시대, 진나라, 한나라, 당 태종, 송나라 태조에 이르기까지 도도한 역사의 흐름 앞에서 오래도록 지속한 이는 없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우레는 하늘의 끝에서 소리를 거두고, 새는 구름처럼 날아가 자취가 없듯이, 성인과 보통 사람이 뒤섞여 같은 곳으로 돌아가, 헛되이 연이어진 하나의 무덤일 뿐, 당시의 번화함을 생각하더라도, 누구라도 이 꼭두각시 놀음과 차이가 없다.”고 그는 노래하였다.

인간 세상만이 그러한 것이 아니라, 천지 또한 이에 비견될 수 있다고 한다. 하늘이 자(子)에서 열리고 땅이 축(丑)에서 열린 후, 위 아래가 바로 잡히고 높은 곳이 두텁고, 좌우는 오행으로 지원하고, 앞뒤는 귀신으로 떠들썩하게 하고, 산천을 늘어놓아 장식하고, 해와 달을 매달아서 무늬하고, 바람과 우레를 사시에 내보내어서, 만물을 하늘 기운과 땅 기운이 서로 합하여 어우러진 곳에 고동치게 하였는데, 차고 비는 이치에도 도수가 있어, 오직 '혼돈(混沌)'만이 옆에 서서 이것과 저것으로 서로 보게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나식은 왜 혼돈(混沌)을 끌어들여 얘기하고 있을까? 왜 혼돈만이 차고 비는 하늘의 도수를 옆에 서서 지켜보고 있는가? 혼돈은 <장자>에서 언급하고 있는 혼돈이 아닌가? <장자>에서는 혼돈에 대해 이렇게 언급하고 있다.

“남해의 황제는 숙(儵)이고, 북해의 황제는 홀(忽)이며, 중앙의 황제는 혼돈(渾沌)이다. 숙과 홀이 때마침 혼돈의 땅에서 만났는데, 혼돈이 매우 선(善)하게 그들을 대접했으므로, 숙과 홀은 혼돈의 은덕에 보답할 것을 의논했다. '사람은 누구에게나(눈·귀·코·입의) 일곱 구멍이 있어서 그것으로 보고, 듣고, 먹고, 숨쉬는데 이것이 유독 혼돈에게만 없다. 시험삼아 구멍을 뚫어 주자.' (그래서) 날마다 한 구멍씩 뚫었는데, 7일이 지나자 혼돈은 (그만) 죽고 말았다.”<장자·응제왕>

혼돈은 왜 눈·귀·코·입의 일곱 구멍을 뚫어주자 죽고 말았던 것일까? 장자는 인간의 감각기관뿐만 아니라, 심지어 지각 능력으로도 사물의 실체에 접근할 수 없다고 말한다. 그래서 제시한 것이 '심재(心齋)'이다. “너는 의지를 한결같이 하라. 귀로 듣지 말고, 마음으로 듣고, 마음으로 듣지 말고 기(氣)로 들어라. 듣는 것은 귀에서 그치고, 마음은 부절에서 그친다. 기라는 것은 허(虛)하여 만물을 기다리는 것이다. 오직 도(道)만이 허(虛)에 모인다. 허(虛)가 심재이다.”<장자·인간세>

기(氣)로 듣는다는 것은 질 들뢰즈(1925~1995)가 말하는 감성의 수동적 종합을 넘어선 통찰이고, 양자역학의 설립에 기여하여 1922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닐스 보어의 이론에 의거해야 비로소 이해할 수 있는 발언이다. 기로 듣는다는 것은 현대물리학과 일맥상통하는 통찰이다.

나식(羅植)은 또한 '괴뢰부(傀儡賦)'에서 “참과 거짓을 분별할 수 없고(無眞僞之可別), 크고 작음을 바르게 할 수 없으며(豈小大之能端), 같음은 다름에서 생겨나고(同生於異), 진실은 거짓에 뿌리하네(眞本於假), 천지가 한 손가락이고(天地一指), 만물은 한 마리 말이네(萬物一馬), 어지럽게 섞인 것이 도이고(繽紛者道), 가지런하지 않은 것이 참이네(不齊者眞), 크고 작음은 한 몸이요(大小一體), 득실은 같은 수레바퀴이며(得失同輪), 꼭두각시가 사람 세상이요(傀儡人世), 사람 세상이 꼭두각시이고(人世傀儡), 천하를 돌아보건대(顧瞻天下), 모두가 비단의 채붕(무대)로다(皆是繪綵)”라고 노래하고 있다. 이는 모두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의 사상과 관련되어 있는 발언이다.

 

“천지가 하나의 손가락이고(天地一指也), 만물도 하나의 말이다(萬物一馬也).”라는 표현은 <장자·제물론>에서 나오는데, 그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손가락(指)으로 '손가락의 손가락이 아님(指之非指)'을 비유하는 것은 '손가락이 아님(非指)'을 가지고 손가락의 손가락이 아님(指之非指)을 비유하는 것만 못하다. 말(馬)을 가지고 '말의 말이 아님(馬之非馬)'을 비유하는 것은 말이 아님(非馬)으로 말의 말이 아님(馬之非馬)을 비유하는 것만 못하다. 천지도 하나의 손가락이고, 만물도 하나의 말이다.”

장자의 이러한 발언은 개념적 차이와 차이 자체의 구별에 관한 것이다. 조랑말, 얼룩말, 수레를 끄는 말, 천리마 등은 개념적으로 하나의 말(馬)이다. 마찬가지로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 등은 모두 개념적으로 하나의 손가락(指)이다. 그러나 차이의 관점에서 보면 모두가 차이 자체이며, 개념적인 차이가 아닌 손가락(非指), 개념적인 차이가 아닌 말(非馬)이라는 것이다. 개념적 차이는 차이 자체를 제거한 이후에 얻은 부대 현상일 뿐이라는 것인데, 이로부터 보면 나식은 노장 사상가라 할 수 있지 않을까?

▲ 송성섭 풍물미학연구소 소장
▲ 송성섭 풍물미학연구소 소장

/송성섭 풍물미학연구소 소장



관련기사
[풍물의 미학] 40. 풍물과 나례(5) 나례에서 연행되었던 괴뢰 즉 꼭두각시에 대한 글들이 예상한 것보다 의외로 많다. 성현의 시 '관괴뢰잡희'에서는 우스운 역할을 하는 대머리 꼭두각시 곽독이 등장했으며, 북송의 양대년(974~1020)의 시 '영괴뢰'에서는 포로와 곽랑이 등장한 바 있다.그런데 박승임(朴承任, 1517∼1586)은 소고선생문집(嘯皐先生文集)에서 「괴뢰붕(傀儡棚)」이라는 시를 남겼는데, 여기에서는 포로와 함께 연지(閼支)가 등장한다. 연지는 한나라 고조가 평성에서 포위되었을 때 질투심 때문에 포위를 터준 흉노의 왕 묵돌(冒頓) [풍물의 미학] 39. 풍물과 나례(4) 나례(儺禮)는 원래 12월에 역귀를 쫓는 행사였으나, 풍자와 해학 및 골계(滑稽) 등의 내용을 배우가 대사를 통해 극을 진행시키는 소학지희와 기예적인 놀이를 주로 하는 규식지희도 연행되었다.나례는 중국의 사신이 왕래했을 때나 궁궐의 향연에서도 거행되었는데, 그에 대한 기록을 각종 문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허백당 성현은 '관나(觀儺)'라는 시를 짓기도 하였으며, '관괴례잡희(觀傀儡雜戲)'라는 시를 남기기도 하였다. 괴뢰잡희를 구경하다〔觀傀儡雜戲〕번쩍이는 금빛 띠에 현란한 붉은 의상 / 煌煌金帶耀朱衣 [풍물의 미학] 38. 풍물과 나례(3) 조선 시대의 나례(儺禮)에는 수척(水尺)과 승광대(僧廣大) 등이 웃고 희학하는 놀이였던 소학지희(笑謔之戲)도 있었지만, 광대(廣大)와 서인(西人)의 주질(注叱)·농령(弄鈴)·근두(斤頭) 등과 같은 규식지희(規式之戲)도 있었다.조선의 나례는 궁궐에서도 열린 바 있다. 그러나 이때 어떠한 기예가 연행되었는지에 대한 왕실의 기록은 없다. 한편 나례는 외국의 사신이 왕래했을 때 거행되기도 하였는데, 사신 중의 일부가 나례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있다.성종 19년인 1448년 3월 한림원 시강이었던 동월이 정사(正史)로서 조선에 파견된 일이 [풍물의 미학] 37. 풍물과 나례(2) 조선 시대의 나례(儺禮)는 중국에서 사신이 왔을 때 거행되기도 하였고, 궁중에서 유흥을 즐기기 위해서 거행되기도 하였는데, 크게 두 가지 형식이 있었다. 하나는 규식지희(規式之戲)이고, 다른 하나는 소학지희(笑謔之戲)이다.소학지희(笑謔之戲)에는 수척(水尺)과 승광대(僧廣大) 등이 웃고 희학하는 놀이였다. 규식지희(規式之戲)에는 광대(廣大)와 서인(西人)의 주질(注叱)·농령(弄鈴)·근두(斤頭) 등과 같은 유희가 있었는데, 주질은 줄타기이고, 농령은 방울받기이고, 근두는 땅재주를 말한다.수척과 승광대가 펼쳤던 소학지희에는 음담패설 등의 [풍물의 미학] 36. 풍물과 나례 (1) 현행 풍물은 조선 시대의 고취와 군악 그리고 연향과 밀접한 연관을 지니면서 발전하여 왔다. 조선 시대의 연향은 왕실에 경사가 있을 때 거행되었던 진연이나 진찬 등의 의식도 있었지만, 외국에서 사신이 왔을 때 벌였던 나례(儺禮)의 형식도 있었다.이른바 계동 대나의(大儺儀)는 세종실록의 오례 중에 군례 의식에 나열되어 있는데, 이는 고려의 의식과 조금의 차이도 없었다. 이 의식에서는 나이 12세 이상으로부터 16세 이하의 48명으로 구성되는 진자(侲子)가 등장한다. 이들은 가면을 쓰고, 붉은 옷을 입었으며, 채찍을 쥐었다. 이들 외에 [풍물의 미학] 42. 풍물과 나례(7) 나례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었다. 하나는 부묘(祔廟)하고 궁으로 돌아올 때, 가항(街巷)에 결채하고 대궐문 밖 좌우에는 채붕을 설치하고, 기로(耆老)와 유생과 교방(敎坊)이 각각 가요를 올리며, 의금부와 군기시에서 나례를 올리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중국에서 사신이 왔을 때 나례하는 것이었다.종묘에 고하고 친히 제사하는 일이 있으면 미리 나례도감(儺禮都監)을 설치하고 헌가(獻架)와 잡상(雜像) 및 침향산(沈香山)을 만들어 민력을 허비하는가 하면, 온 나라의 희자(戲子)가 기일 전부터 모여 연습하고 있다가 환궁할 때에 요란하게 음악을 [풍물의 미학] 43. 풍물과 나례(8)-끝 조선 시대 나례를 담당했던 이들을 양수척이라고도 하며, 화척이라고도 하고, 광대라고도 하고, 재인이라고도 하며, 우인이라고도 하는데, 이들은 어떠한 계층이었을까? 이들에 대한 단서를 우리는 세조 2년인 1456년 3월 28일의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대개 백정(白丁)을 혹은 '화척(禾尺)'이라 하고 혹은 '재인(才人)', 혹은 '달단(韃靼)'이라 칭하여 그 종류가 하나가 아니니, 국가에서 그 제민(齊民)하는 데 고르지 못하여 민망합니다. 백정(白丁)이라 칭하여 옛 이름[舊號]을 변경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