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중구 신흥동 옛 시장관사(官舍)는 역사적으로 여러 의미를 지닌다. 일제 강점기인 1938년쯤 지어졌다고 알려진다. 무려 80년을 훌쩍 뛰어넘는 변천의 과정을 겪은 셈이다. 답동로 12번길 10에 위치한 단독주택(토지 면적 496.1㎡·연면적 251.46㎡)으로, 지하 1층·지상 2층 구조의 철근콘크리트·목조 건물이다. 해방 후 시민들은 한동안 '부윤관사'로 즐겨 불렀다고 한다.

인천시의 '신흥동 옛 시장관사 기록 보고서'를 보면, 지역 주거사를 고찰할 수 있는 귀중한 값어치를 띠었다고 적었다. 여기엔 관사의 역사·실측자료·사진 등을 수록했다. 시는 인천 근대 건축물에 대한 학술연구자료, 시 등록문화재 지정 추진 시 기초자료, 멸실될 경우를 대비한 건물 복원 근거 등으로 충분히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관사 건물을 건축적으로 분석하고, 조선시대~일제 강점기 인천 관아의 변화를 살펴보겠다고 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신흥동 일대 시가지 변화를 소개했으며, 이해를 도우려고 고지도·근현대지도·건축도면 등도 담았다.

이 건물은 해방 후 1954∼1966년 인천시장 관사로 쓰였는데, 제6대 김정렬 시장부터 12대 윤갑로 시장까지다. 제14대 김해두 시장이 관사를 송학동(현 인천시민애(愛)집)으로 옮긴 후, 1977년 일반인에게 넘어가 가정주택으로 변했다. 그러다가 신흥동 일대 재개발 사업 시행 등 주변 개발에 따라 훼손·멸실될 우려를 낳았다. 그러자 인천시는 근대문화유산 보호 차원에서 2019년부터 관사 매입을 추진해 이듬해 9억8천만여원을 들여 소유권을 확보했다.

일찌기 신흥동 옛 시장관사는 보존과 활용 면에서 역사·건축적으로 다양한 쓸모를 품고 있는 근대 건축물로 평가를 받아왔다. 1938년 당시 신축한 일본식 가옥의 형태를 보여주는 주거사적 가치와 과거 관사로 사용된 역사적 상징성을 갖고 있어서다.

인천시가 리모델링을 끝낸 신흥동 옛 시장관사를 오는 24일 시민들에게 개방한다.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재단장하기 위해 5억여원을 들여 관사의 역사를 소개하는 전시공간(1층)과 시민사랑방(2층) 등을 갖춰 개관한다. 하지만 송학동 인천시민愛집과 달리 아직 명칭을 정하지 못한 상태로, 시민들의 답을 기다리고 있다.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알려주는 건물로서 새 단장을 마친 신흥동 옛 시장관사. 시민 품으로 돌아감으로써 재탄생한 관사가 신흥동∼율목동 등 인근 지역 활성화의 구심점으로 자리를 잡길 바란다. 아울러 시민들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할 열린 공간이자, 모퉁이 돌담길과 싸리재 등지 탐방로 답사의 거점을 구축했으면 더할 나위 없겠다.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DMZ와 평화 군대 시절 GP(Guard Post)와 GOP(General Outpost)에서 근무한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휴전선 안에 있는 감시 초소와 남방한계선 철책선 소대단위 초소를 일컫는데, 24시간 경계를 서며 북한군 기습에 대비하도록 한다. 늘 비무장지대를 감시하며 적의 동태를 살피는 게 주 임무다.비무장지대(DMZ·Demilitarized Zone)는 한국전쟁 휴전 협정(1953년 7월) 당시 만들어진 구역. 남·북한은 휴전선으로부터 각각 2㎞씩 병력을 배치하지 않기로 했다. 이런 비무장지대 없이 양쪽 세력이 맞닿아 있으면, 군사적 [썰물밀물] 개항 140년, 다시 깨어나는 인천 “잘 있거라 인천아/이별 후에도 벚꽃은 무사히 피어나렴/머나먼 고향에서 쓸쓸한 밤에는/꿈에도 울리겠지 월미도야/기차는 떠나가고 항구는 희미한데/이제 이별의 눈물로 외치나니/뜨거운 인사를 받아줘요/그대여 고마웠어요 부디 안녕!”인천에 살던 일본인들이 1945년 8월15일 조선 해방으로 떠나기 직전 읊조렸던 노래다. 일본인 상조회가 2차대전 때 불렀던 일본군가 '잘 있거라 라바울'의 곡조에 가사만 바꿨다고 한다. 인천이란 도시를 기획했던 일본인들이 어떠한 심정을 갖고 있었는지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본보가 기획한 ' [썰물밀물] 강화천문과학관에 대한 기대 학창 시절 경주는 단골 수학여행지였다.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였기에 둘러볼 데가 정말 많았다. 그 중에서 '세계 최고(最古)의 천문대'를 자랑하는 첨성대(瞻星臺)를 구경하곤 놀랐던 기억이 새롭다. 국보 제31호로,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때 건립했다. 경주를 상징하는 이정표 중 하나로 꼽힌다. 이름대로 별(星)을 보는 용도였다. 하늘의 움직임을 계산해 농사 시기를 정하고, 나라의 길흉을 점쳤다고 전해진다.첨성대는 한반도 고대 건축물 중 유일하게 후대 복원이나 재건 없이 창건 당시 모습 그대로 보존된 문화재다. 남동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