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인천시엔 아직 시립미술관이 없다. 전국 특·광역시는 물론 중소도시에도 있는 시립미술관이 존재하지 않아 시민과 관계자들에게 큰 아쉬움을 던져준다. 전시 행사와 체험 프로그램 등을 하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넘어 개탄스러움을 표하기도 한다.

개항(1883년) 이후 각종 근대문물을 도입해 수많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는 데도 미술관이 없는 까닭은 무엇일까. 우선 인천시의 의지가 충분하지 못했음을 들 수 있겠다. 도심에서 다채로운 문화예술을 즐길 매개체 구실을 하는 미술관 건립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았다는 뜻이다. 시가 나섰으면 될 일을 미루고 미뤄 이런 상황을 만들었다고 여겨진다.

인천은 일찌기 국제도시로 변모하기까지 '입지적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서울보다 먼저 세계 신문명이 들어온 길목임을 과시했다. 국내 최초로 시작된 문물들이 많은 이유도 그래서다. 혼란스러운 사회 분위기 속에서 광복 이듬해인 1946년 4월 우리나라 첫 공립박물관이 인천에 문을 연 점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인천 문화의 역사와 가치를 높이는 계기로 작용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선사시대부터 근대 개화기까지 소장 유물이 1만여점에 이른다. 77년의 역사를 간직한 인천시립박물관(연수구 청량로)은 이제 새로운 희망을 안고 '다음'을 향한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시립박물관을 옮길 장소는 '인천뮤지엄 파크'이다. 이 곳은 미술관·박물관·예술공원 등을 결합한 전국 최초의 복합문화시설이다. 연면적 4만2828㎡ 규모로 미추홀구 학익동에 들어선다. 당초 2025년 말 개관을 목표로 했으나, 국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며 예산 부담을 키워 2027년 5월 개관으로 계획을 늦췄다. 지난해 12월엔 인천뮤지엄파크의 국제설계공모 당선작이 발표되기도 했다.

인천뮤지엄 파크 건립 윤곽은 이미 그려졌다. 지금은 '글로벌 도시'에 걸맞은 기관으로 어떻게 설립해야 할지 고심을 거듭할 시점이다. 지역에서 박물관이 문화시설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무시할 수 없는 만큼, 국내외 사례들을 기반으로 나아갈 길을 제대로 세워야 할 때다.

시를 대표하는 박물관과 미술관이 한 공간에 공존하는 일은 국내에서 새롭게 시도되는 방안이다. 두 기관이 상생하며 서로 상승 효과를 낼 수 있는 콘텐츠 개발에 힘을 쏟으라고 주문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문화도시 비전을 제시하는 공간으로 자리잡길 바란다.

우리나라 첫 공립박물관의 도시 인천은 이제 박물관과 미술관이 한데 어울어지는 또 다른 '최초'를 만들어낼 참이다. 시민들에게 폭넓은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할 인천뮤지엄 파크의 개관을 학수고대한다.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인천대 국립화 10주년을 맞아 인천대학교의 역사는 파란만장하다. 지역사회에 파행과 분규로 점철되던 '선인학원' 산하에서 신음하다가 탈바꿈을 시도했다. 1994년 3월1일 선인학원 내 14개 학교가 한꺼번에 시립대학과 공립 중·고교로 변한 일은 국내 교육사에 길이 남을 하나의 '사건'으로 치부된다. 선인학원 시립화엔 희생을 감수하며 벌인 학생·교사·교수·교직원들의 용기와 고장의 명예와 자존심을 곧추세우려던 시민들의 의지가 한몫 단단히 했다.앞서 1993년 6월엔 백인엽 선인학원 설립자가 기증을 다짐하는 증서를 인천시에 넘겼다. 그는 기 [썰물밀물] 디아스포라 영화제와 재외동포청 디아스포라(Diaspora)는 '흩어진 사람들'이란 뜻이다. 팔레스타인을 떠나 온 세계에 흩어져 살면서 유대교의 규범과 생활 관습을 유지하는 유대인을 이르던 말. 이를 바탕으로 기획된 제11회 디아스포라 영화제(인천시영상위원회 주최)가 오는 19∼23일 중구 애관극장과 인천아트플랫폼 등지에서 열린다. 1902년 우리나라 첫 이민사를 기록하고 있는 인천에서, 영화를 통해 차별과 편견 등으로 소외를 받는 이들의 다양한 가치를 나누고자 마련됐다.이 영화제는 우리 사회 곳곳에 퍼진 디아스포라 관련 문제를 다각적인 관점으로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