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조선시대에 자연(영종도의 옛 이름)·용유·삼목도 등은 나라의 말을 키우는 곳으로 유명했다. 자연도와 삼목도엔 세종 3년에 목장이 설치됐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엔 자연도와 삼목도가 국마 사육장으로서 매우 중요했다고 기록한다. 영종도와 용유도를 합친 영종진은 오늘날 물치도와 월미도를 행정구역으로 삼고, 인천을 비롯해 부평과 안산 등의 수군 업무까지도 관할할 정도로 컸다고 한다.

삼목도는 바로 옆 영종도와 연륙도로로 연결된 섬이었다. 그러다가 인천국제공항 건설을 위해 영종·용유·삼목·신불도 사이에 갯벌을 매립하면서 활주로가 들어섰다. 드나드는 목이 셋이라는 뜻에서 지명이 유래된 이 곳엔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다고 추정된다. 공항이 들어서기 전엔 농경지가 비옥하고, 어업의 적지였다는 평을 듣고 있다. 해발고도 35m 정상 부근에선 삼국시대에 축조한 것으로 보이는 삼목(퇴뫼재)토성이 발견돼 학계의 이목을 끌기도 했다.

이렇게 국가 유형문화재급 보호가 필요한 삼목토성이 클럽72(옛 스카이 72) 골프단지에 가려 30년 넘게 방치되다시피해 논란을 빚는다. 골프 단지 임대사업자인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삼목토성을 협의·관리해야 할 인천시·중구는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다.

삼목토성은 지난 1일 개장한 클럽72(중구 공항로 392 일대) 골프 단지 안에 있다. 동서 68m, 남북 27m, 높이 9∼11m로 타원형의 소규모 토성이다. 백제 시대 강화도 남쪽 해안에 접근하려는 적과 옹진군 덕적도 해상에서 인천으로 접근하는 적을 탐지하고 저지할 목적으로 세워졌다.

인천시립박물관은 1992년 11월에서 1993년 6월까지 지표 조사를 통해 높이 3~4m, 둘레 175m의 군사용 판축토성(사방에 나무기둥을 세우고 나무판을 댄 뒤 흙을 다져 만든 성)이란 사실을 확인했다. 인하대박물관도 1994년 4~7월 발굴 조사를 거쳐 원형 그대로의 보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진단을 내렸다. 인천공항공사는 공항 건설 전 이뤄진 유적 지표 조사를 토대로 삼목토성을 국가 유형문화재로 보호하려 했지만, 성사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삼국시대에 축조한 삼목토성은 우리나라 고대 수군활동과 해양방어 체제 등을 설명하는 중요한 사료이다. 각계의 힘을 모아 발굴 조사가 시급한 실정이다. 삼목 선사주거지(시 지정문화재) 등 주변 지역과 연계한 역사·문화·생태 공원 조성 계획도 하루빨리 이뤄졌으면 싶다. 삼목토성이 더는 훼손되지 않도록 적법한 절차를 거쳐 보존·관리에 나서라고 관계 당국에 촉구한다. 이른 시일 안에 지표 정밀조사를 시행해 최소한 지역 향토유산으로라도 지정·보호하길 바란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누들플랫폼'의 변화를 바라며 일반적으로 '국수'로 알려진 면 음식은 국가별로 여러 형태로 개발돼 왔다. 세계 많은 문화권에서 인기를 끄는 국수의 기원은 정확하지 않지만, 기원전 4000년쯤 중국에서 만들었다는 얘기가 통설이다. 밀이나 쌀로 만든 반죽을 가느다랗게 뽑은 후 말려서 내놓는다. 국수는 한국·일본·베트남·태국 등 아시아 지역에 퍼진 후 유럽으로 넘어가 이탈리안 파스타를 낳을 만큼 세력을 넓혔다고 한다.우리나라에선 주로 밀·쌀·메밀 등을 써서 면을 만든다. (칼)국수와 냉면이 대표적이다. 이들 재료 외에 고구마나 칡 등을 이용해 면을 뽑기 [썰물밀물] 인천의 역사적 역할 인천은 한국 기독교 출발지다. 각국 선교사들이 국내에 첫발을 내디딘 곳이다. 종교계에선 선교사가 처음으로 제물포항에 도착한 1885년 4월5일 부활절을 국내 첫 기독교 전파 시기로 본다. 이들 선교사는 아펜젤러 부부와 언더우드다. 아펜젤러는 136년 전인 1887년 인천에 국내 최초 감리교 내리교회를 세웠다. 작은 초가집에서 예배를 시작했는데, 성도가 점차 늘어나면서 교세를 확장했다. 인천지역에 특히 감리교회가 많은 이유이기도 하다.이런 역사를 기려 인천 앞바다 해안도로 바로 옆 항동엔 '한국 기독교 100주년 기념탑' [썰물밀물] '1천원 아침밥'의 행복 물가가 오를수록 1000원의 가치는 형편없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그런데 고물가 시대에 '천원 아침밥'이 등장해 눈길을 끈다. 대학 구내식당이 이렇게 싼값의 아침을 내놓자, 대학생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아침마다 장사진을 이룬다. 편의점 도시락보다 훨씬 싼 단돈 1000원에 아침밥을 먹을 수 있다는 얘기는 그야말로 반가운 소식임에 틀림없다. 공깃밥 한 그릇 값에 불과하지만, 따뜻한 아침 밥상은 학생들을 크게 만족시킨다.요즘엔 식비가 너무 많이 올라 대학생들의 부담을 키운다. 어느 식당을 가나 거의 1인당 1만 [썰물밀물] 화마(火魔) 벗어난 강화 정수사 강화도 사찰을 얘기할 때 전등사(傳燈寺)가 주로 거론된다. '천년고찰'로 일반인에게 잘 알려졌다. 마니산(472.1m) 자락에 자리를 잡고 있는데, 한반도 배꼽에 해당되는 마니산은 엄청난 지기(地氣)를 자랑한다. 정상에 오르면 인천 앞바다와 주변 섬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산정엔 단군 왕검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는 참성단(塹城壇·사적 136)이 있다. 여기선 개천절 제례를 올리고, 전국체육대회 성화(聖火)를 채화한다.등산객들은 대개 계단과 능선을 따라 마니산 정상을 밟고 남동쪽 함허동천 기슭 정수사 쪽으로 내려온다. 정 [썰물밀물] 중구 동화마을의 어제와 오늘 도시 전체에 풍성한 근대역사를 품은 인천은 다양한 나들이 장소를 제공한다. 그 중 중구 송월동 동화마을은 관광객에게 퍽 인기를 끄는 곳이다. 차이나타운 바로 옆에 있어 늘 붐빈다. 아이들과 함께 상상의 나래를 펴기에 그만이다. 세계 명작동화를 주제로 마을 여기저기에 색을 입히고 조형물을 설치하면서 인천의 주요 관광지로 떠올랐다.인천항 개항(1883년) 이래 송월동은 '부촌'으로 여겨졌다. 개항 이후 물밀처럼 쏟아져 들어온 서양문물과 더불어 각국인이 이 일대에 터전을 삼아서다. 일본인은 중앙동과 선린동을 중심으로, 미국 [썰물밀물] 상전벽해가 실감 나는 서구 어릴 적 지금의 인천 서구 지역은 '개건너'로 불렸다. 바닷물이 드나들던 어귀를 건너가야 만날 수 있는 곳이었다. 동구 송림동과의 사이에 놓인 나루터에서 거룻배를 타고 가야 했다. 1961년 인천교를 준공하면서 나루터는 없어졌지만, 한동안 인천인들에게 개건너란 이름은 계속됐다. '정겨운 명칭'을 잇고 싶은 집단의식의 표출로 보인다.중고등학교 시절 개건너는 소풍 단골 장소이기도 했다. 그 때만 해도 서구는 전답과 농장 등을 아우르는 전형적 농촌마을이었다. 시내를 벗어나 모처럼 시골 내음을 맡으며 즐거워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