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천역 북광장 일대의 도시재생 사업의 방향이 전면개발 방식으로 재검토될 전망이다. 1990년대 이후 도시개발 방식이 전면철거 재개발 방식의 일방적인 물리적 환경개선에서 벗어나 종합적인 도시경쟁력 확보에 주안점을 둔 뉴딜정책의 관점에서 보면 상충된다. 최근 인천시의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와 연계해 인천시 동구의회 등은 동인천역 일대의 복합·고밀개발 방식을 주장하고 있다. 인천시는 동인천 뉴딜사업을 각종 규제를 개선하는 국토부의 '도시혁신구역' 공모사업으로 전환하는 전략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다만 주민 참여를 우선으로 하는 도시재생의 기본축이 훼손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동인천역은 구한말 경인철도 교통의 길을 연 인천 경제활동의 중심지였고 원도심 쇠퇴 이전인 1980년대 인천 최고의 중심지 중의 하나였다. 동인천 북부역 지역은 '양키시장' 송현자유시장, 전통혼수거리가 조성된 중앙시장 등 개봉영화 상영 극장이 밀집될 정도로 경제, 문화 상권으로 선호됐다. 그러나 10여년간 방치된 동인천역사는 도시 쇠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가 되고 말았다. 도시중심축이 구월동 시청주변, 청라·송도 등 신도시 방향으로 이동된 영향도 있다.

2019년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선정돼 2020년부터 5년간 거점연계 사업으로 추진될 '동인천역 2030 역전(逆轉) 프로젝트'가 전면개발 방식으로 전환될 경우, 인천시는 뉴딜사업 반환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국토부가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반환을 받아 준 사례는 없다. 자칫 사업추진 일정만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동인천역 뉴딜은 2024년까지 공영주차장, 창업지원·문화체험센터 건립, 중앙로 특화거리 조성, 주민공동이용시설 리모델링 등이 추진된다.

그동안 투입된 관련 예산과 행정력이 소모되지 않도록 유념할 필요가 있다. 동인천역 주변은 이미 2007년부터 공영개발 방식의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됐지만 장기간 개발이 더디게 진행된 곳이다. 동인천역 주변의 주거환경을 개선 등 원도심 활성화와 도시 커뮤니티 유지, 지속적인 생활여건 확보 등 전면개발에 따르는 주민의견 수렴부터 다시 시작돼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궤도 수정하는 '동인천역 2030 역전 프로젝트' 인천시가 '동인천역 2030 역전 프로젝트'의 기존 사업방식을 전면 수정한다. 도시재생 대신 전면 개발로 방향을 전환한다는 건데, 백지상태에서 출발하는 꼴이라 앞으로의 과제 또한 만만치 않다.16일 시는 이런 계획 변경을 위해 오는 5월 국토교통부에 도시재생뉴딜사업 취소 신청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지난 2021년 상반기부터 인천 동구의회 등지에서는 동인천역 일대 사업을 '복합·고밀개발' 방향으로 건의해왔다. 그러다가 들어선 민선 8기의 제물포 르네상스 사업 방향이 이런 여론과 맞아떨어지며 대대적인 '도시혁신구역' 동인천역 개발 전환점 맞나 인천시가 제물포 르네상스의 주축인 동인천역 개발사업과 국토부 추진 사업인 '도시혁신구역'을 관련지어 새로운 검토를 하고 있다.그동안 도시 개발을 여러모로 제한했던 각종 규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도시혁신구역에 동인천역 일대 등이 지정될 경우 제물포 르네상스 사업에 새 지평이 열릴 수도 있다.15일 인천시는 동인천역 개발사업과 인천역 복합역사 사업이 도시혁신구역 적용을 받을 수 있는지 등을 다각도로 점검 중이라고 밝혔다.현행 국토계획법은 도시 토지의 용도를 주거·상업·공업·녹지 등으로 나누고, 용도에 맞는 건폐율과 용적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