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등 고려 2030년 이후 완료
복원 시설 없어 '인천 이관' 발목
관계기관 이전 논의 시작 못해

박물관 설치 이유 '영흥도선'
당분간 모형·과정만 보여줄 듯
▲ 영흥도선의 잔해를 목포 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탈염 복원중이다./사진제공=문화재청

내년 문을 열 국립인천해양박물관 '영흥도선' 전시는 당분간 어려워 보인다. 영흥도선 복원 작업이 끝나지 않은 상황에 인천시와 해양수산부, 문화재청의 영흥도선 이전 논의가 아직 첫발도 떼지 못했다.

국립인천해양박물관에는 당분간 영흥도선 모형과 발굴 과정이 담긴 화면 등만 전시될 예정이다.

인천시와 해수부, 문화재청은 영흥도선의 국립인천해양박물관 전시는 복원이 끝나지 않은 만큼 협의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고 17일 밝혔다.

영흥도선은 옹진군 영흥면 섬업벌 해역에서 지난 2012년과 2013년 두 차례에 걸친 수중발굴조사로 1000년의 침묵을 깨고 세상에 드러났다. 이 배와 함께 철제 솥, 도자기 등 900여점의 유물도 출수됐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 2014년 '영흥도선 수중발굴조사 보고서'를 통해 “선체 구조 등이 경주 안압지 배와 유사하고 목재에 대한 탄소연대측정 결과, 8세기경으로 나왔다”며 “영흥도선은 지금까지 해양에서 발굴된 고선박 중 시기가 가장 앞서며, 특히 통일신라시대까지 올려볼 수 있어 해양사·선박사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로 평가된다”고 분석했다.

▲ 영흥도선 모형.
▲ 영흥도선 모형./사진제공=문화재청

영흥도선의 인천국립해양박물관 전시는 인천의 염원이자 인천국립해양박물관 설치 이유다.

지난 2021년 11월10일 시는 중구 월미도 갑문매립지에서 국립인천해양박물관 착공식 때 “인천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무역선인 영흥도선이 발견된 오랜 해상무역 중심도시”라며 “2024년 개관하는 국립인천해양박물관은 과거와 현재, 시간과 공간을 이어주는 대표적인 해양문화 시설인 동시에 수도권 2500만 시민이 진정한 바다의 가치와 영향력을 깨달을 수 있는 꿈의 공간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에 박물관에는 '교류의 바다, 연결의 시작'을 주제로 인천의 고유한 해양역사와 문화를 반영해 영흥도선, 천일염의 시작인 주안염전의 풍경 등을 보여줄 예정이다.

여기에 지난 2019년 한국개발연구원(KDI)는 '국립인천해양박물관 건립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를 통해 상설 전시 시설에 '영흥도선실'을 포함했다.

하지만 한창 복원 중인 영흥도선의 내년 국립인천해양박물관 개관 전시는 쉽지 않아 보인다.

현재 영흥도선은 발굴 10년 째 전남 목포에 있는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복원 작업 중이다. 지난 1971년 발굴된 신안선이 복원 작업이 약 20년 걸린 만큼 기술 개발 등을 고려하더라도 2030년 이후에나 영흥도선 복원을 마칠 수 있다.

▲ 영흥도선 및 주변 해역 출수 도자기류./사진제공=문화재청

여기에 국립인천해양박물관에는 복원 등을 위한 시설도 마땅치 않은 게 영흥도선의 인천 이관 가능성에 발목을 잡고 있다.

이 때문에 내년 개관 때 국립인천해양박물관에는 '영흥도선'의 실물 전시와 출수 유물 등의 진품 전시는 어렵다. 해수부와 문화재청는 영흥도선 관련 모형 전시와 발굴 당시 모습, 출수 유물 등을 그래픽 등 그림 작업에 의존해 국립인천해양박물관에 전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영흥도선 실물 전시는 복원 작업이 한창이라 아직 시작하지 못했다”며 “해수부와 문화재청은 국립인천해양박물관에 모형 등을 전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신안선을 재보존 처리하기 위한 방안을 담은 종합 보고서를 펴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잇츠브리핑] 제2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추진에…"애꿎은 수분양자 피해" 목소리 AI 휴먼 아나운서 오로라와 함께하는 잇츠브리핑✨ ▲ 제2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추진에…"애꿎은 수분양자 피해" 목소리제2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추진을 놓고 인천시와 사업 시행자 간 갈등이 수분양자들의 피해로 이어진다는 불만이 나옵니다. 인천시장이 대책을 검토하겠다고 했지만, 근본적 방침은 바뀌지 않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 ‘인구구조’ 고려 안 한 정부의 획일적인 ‘공공인력 축소’정부의 획일적인 '공무원 수 동결' 방침에 인구 증가 지역인 경기도 지방자치단체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이미 공무원 1명당 주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