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자원순환에너지본부 업무계획

2026년 수도권 생폐물 직매립 금지
8907억원 투입 중간처리센터 확충
주민 반대·입지 등 전 지역 불분명
갈등 최소화 효율적 방안 마련 필요
인천시청 전경. /사진제공=인천시

인천시가 내년에도 기존 소각시설 증설을 대신해 4개 권역별로 시설을 확보하는 신설 사업 등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수도권 직매립 금지 시한까지 겨우 3년이 남은 만큼 지역사회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정책 필요성도 제기하고 있다.

28일 인천시가 내놓은 '자원순환에너지본부 2023년도 주요업무계획'에는 '친환경 자원순환센터 건립'이 핵심 현안으로 제시됐다.

오는 2026년 수도권 전역에서 시행되는 환경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발맞춰 폐기물 중간처리를 위한 자원순환센터 확충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시는 하루에 폐기물 1485t씩을 소각 처리할 수 있는 4개 권역별 시설 확보를 목표로 두고 있다. 총사업비는 8907억원으로 추산되는데, 국비 지원액은 40.2%로 3578억원 규모다.

이는 민선7기 박남춘 시장이 내놨던 '친환경 자원환경시설 건립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한 것인데, 2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소각시설 입지 등 확충 방안은 불분명한 상황이다. 기존 청라소각시설을 폐쇄·이전하기로 한 서구·강화군의 북부권 시설은 물론, 중구·동구·옹진군의 서부권도 입지를 정하지 못했다. 경기 부천시와 공동 사용을 전제로 협의 중인 부평구·계양구의 동부권도 아직 지자체간 협약을 마무리 짓지 못한 상태이다. 남부권에 해당하는 연수구 등은 송도소각장 증설 여부를 두고 여전히 시와 갈등을 겪고 있다.

그러다 보니 민선8기 유정복 시장 취임 이후 소각시설 확충 방안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2026년'이라는 명확한 시한이 정해져 있는 만큼 기피시설 신설로 인한 입지 갈등을 최대한 피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최계운 인천환경공단 이사장은 지난 8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최대한) 빠르게 인천 폐기물을 처리할 시설 확충 방안이 필요하다”며 “기존 연수구 송도·서구 청라 소각장 2곳에 (증설할 만한) 여유 부분이 있다. (현대화를 통해) 시설을 개선하며 여유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인천시는 전면 부인하며 기존 계획에 따라 권역별 시설 확충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박유진 시 자원순환에너지본부장은 지난 20일 “효율성에 맞을진 몰라도 정서상 맞지 않는다. 정책적으로 증설을 결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



관련기사
[사설] 소각장, 손발 안맞는 인천시와 환경공단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이 2026년이면 금지된다.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시한까지 겨우 3년밖에 남지 않았는데, 인천시가 추진해온 인천 내 소각장 신증설 사업은 전혀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다. 소각장은 대표적인 혐오시설로 주민 반발이 커 시 당국으로선 주민 눈치를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시장과 군수·구청장 광역·기초의원이 주민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시민 삶과 직결된 소각장 문제에 대해 여태껏 정책 방향 및 실행 계획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은 무능과 책임 방기라 할 수 있다.여기에 더해 인천환경공단의 최고 책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