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덕 경기본사 북부취재본부 부장
▲이광덕 경기본사 북부취재본부 부장

“미래 교육 정말 중요하죠. 그런데 말로만 떠들면 뭐합니까.”

양주시 옥정동에 사는 A씨(41)는 기자를 보자마자 한숨을 내쉰 뒤 교육현장에 대한 불만을 마구 쏟아냈다.

그는 지난 2017년 양주시로 이사를 왔다. 이후 아들의 학교 문제로 교육청을 수소문한 뒤 버스를 타고 동두천시까지 갔다.

A씨처럼 양주시민들은 교육과 관련한 민원을 위해 동두천까지 이동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양주에는 교육지원청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 양주시 교육행정은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이 담당하고 있다. 그래서 양주시민들은 불만이 많다. 교사와 학생 등도 불편하긴 마찬가지다.

이에 시민들은 수년째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을 분리·신설해달라는 민원을 넣고 있다. 지역 정치권도 교육부와 경기도에 같은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교육부의 명쾌한 답은 없다. 궁여지책으로 지난 2020년 5월 양주교육지원센터를 개소한 게 전부다. 이마저도 효과는 크지 않다.

올해 10월 말 기준 양주시 인구는 23만9697명으로 동두천시(9만1980명)보다 2.5배 더 많다. 초·중·고·특수학교(53개교)도 동두천(23개교)의 배다.

학생 수도 차이가 크다. 양주는 지난 2017년 3만7000명에서 지난해 4만2000명으로 13.6% 더 늘었다. 동두천은 1만1500명에서 1만명으로 12.7% 줄었다.

양주는 옥정·회천지구 택지개발로 학교 신설이 증가하는 등 교육행정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양주교육지원청 분리·신설이 시급한 이유다.

그런데도 교육부와 경기도교육청은 '지방교육자치법률 시행령'만 따진다. 겉으론 교육청 분리·신설에 동감하면서도 속으론 법령을 근거로 핑계를 댄다.

지난 1991년 지역교육구가 지역교육청으로 개편된 이후 30년이 지났지만, 교육 당국은 뒷짐만 지고 있다. 이젠 교육부가 답해야 할 때다.

/이광덕 경기본사 북부취재본부 부장



관련기사
[현장에서] 양주와 포천은 왜 다를까? 양주시와 포천시는 2003년 10월19일 도농복합시로 승격했다.당시 양주는 포천보다 발전 가능성이 낮았다. 인구도 포천이 조금 더 많았다.그러나 19년이 지난 현재 상황은 뒤바뀌었다. 도시발전과 인구 모두 양주가 크게 앞질렀다. 이유가 뭘까 궁금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포천의 미래를 위해 발 벗고 나서는 정치인과 공직자가 없다는 점이다. 정치와 행정 모두 따로따로다. 이러다 보니 지역의 현안은 속도를 내지 못한 채 허황한 꿈만 꿨다. 포천시민들은 속고 또 속았다.양주시는 2003년 시 승격 이후 조직이 국 체제로 바뀌면서 변화를 줬다 [현장에서] 최춘식 의원님 “포천시민도 알 권리가 있어요” 6·1 지방선거가 끝났다. 국민의힘은 6명이 웃었고, 민주당은 3명이 겨우 살아남았다.지난 2018년 지방선거 때와는 정 반대 상황이다. 이번에도 대통령 선거 바람의 영향이 컸다. 민심의 결과였다.그러나 국민의힘은 승리하고도 웃지 못했다. 최춘식 국회의원이 공천과 관련해 논란의 중심에 섰기 때문이다. 실제 국힘은 공정과 상식을 무시한 공천 내정설이 퍼지면서 공천잡음이 끊이질 않았다. 일부 후보는 과거의 불미스러웠던 일까지 드러나는 수모까지 겪었다.공천 의혹도 제기됐다. 안애경 후보는 당에서 활동이 전무한 데다 범죄경력(음주운전 2건 [현장에서] 공공기관, 태극기 제대로 달자 “태극기 모양이 이상하네.” 지난달 17일 양주도시공사가 출범했다. 그런데 행사장에 놓여 있던 태극기가 문제였다. 단상에 있던 실내 행사용 태극기 모양이 바뀐 것이다. 행사를 찾은 주요 내빈을 포함해 행사 관계자 모두 바뀐 태극기를 알지 못했다.태극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탓이다. 공공기관 행사장에 가보면 한숨이 저절로 나온다. 국가를 상징하는 '국기(國旗)'가 외면받고 있어서다.정부는 지난 2010년 '국민의례 규정'을 제정했다. 국민의례를 할 때 국기를 향해 오른손을 펴서 왼편 가슴에 대고 국기를 주 [현장에서] 떳떳하지 못한 포천도시공사장 포천도시공사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직원들은 손에 일이 잡히지 않는 듯 상사 눈치 보기에 바쁘다. 유한기 사장이 최근 언론을 통해 대장동 개발 의혹의 인물로 거론되면서다. 기자들의 취재 경쟁도 치열하다. 공사 출입구엔 이른 아침부터 기자들로 붐빈다. 그러나 유 사장을 만나는 게 쉽지 않다. 전화 연결도 안 된다. 유 사장은 지난 10월부터 출퇴근 여부가 불투명하다. 업무용 관용차량도 한차례 이용했을 뿐 멈춰 선 지 꽤 오래됐다.그를 만나기 위해 수차례 비서실을 찾았지만, 직원은 “본청으로 출근하지 않고, 사업소로 출근해 업무를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