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건교위 행감]

원도심 활성화를 목표로 오는 2025년까지 인천시와 군·구 예산만 972억원이 투입되는 인천형 도시재생 사업을 두고 지속가능한 후속 대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주거 환경 개선에 집중하는 재생 사업보다는 재개발·재건축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유승분(국·연수구3) 의원은 14일 인천시의회 건설교통위원회 행정 사무감사에서 “원도심 재생을 목표로 만들어진 공동이용시설 등을 사업 종료 이후에도 제대로 활용화할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반적으로 시설이 구축된 이후) 주민협의체로 운영이 이관되면서 자체 수입으로 운영비를 충당하도록 하는데, 수익 내는 것이 어렵다 보니 공간 자체가 문을 닫고 있는 것”이라며 “재생 사업 예산 다수가 시설 구축에 쏠리는데 정작 만들어두고도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시는 지난 2014년부터 시작한 저층주거지 관리 사업을 통해 재개발·재건축 정비구역 해제지역 등이 밀집해있는 인천 원도심 주거 환경 개선을 추진 중이다. 특히 민선7기에선 인천형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실시하기 위한 이른바 '더불어마을' 24곳을 지정하고 주민공동체 역량 강화, 기반시설 정비 등을 진행해왔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면서 재개발·재건축을 희망하는 주민들이 점차 늘어났고, '부평 웃음샘마을' 처럼 주민투표를 거쳐 사업 대상지에서 해제된 경우도 발생했다. 민선8기 인천시는 해당 사업을 '행복마을 가꿈'으로 변경하고 집수리 지원 등 주거지 직접 개선에 지원하기로 방향을 정한 상태다.

이날 다른 건교위원들도 도시재생 사업의 효용성을 지적하며 재개발 등 대안을 주장하기도 했다. 조성환(민·계양구1) 의원은 “도시재생 뉴딜 사업 등으로 주변이 밝아지고 공동시설이 만들어지면 무엇하느냐. 정작 주민들이 사는 주택엔 물이 새고 노후화되고 있는 꼴”이라며 “오히려 시가 행정 지원하는 재개발 구역을 더 많이 지정해 도시 개발이 활성화되도록 지원해달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시는 주택 공급 물량을 이유로 난색을 보였다. 최도수 시 도시재생녹지국장은 “정작 인천 내에 필요로하는 공급량은 한도가 있다. 종합 검토를 거쳐 내년도 재개발사업 후보지 수를 10곳으로 정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