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지혜 경기본사 사회부 기자.<br>
▲ 박지혜 경기본사 사회부 기자.

중학생 때의 일이다.

동네에서 매일같이 얼굴을 보며 초·중등학교를 같이 다니던 친구가 자전거를 타고 하교하다 트럭과 부딪히는 사고를 당했다. 친구는 큰 사고에도 기적적으로 목숨을 건졌지만, 1년 동안 수차례의 수술과 치료를 받은 후에야 학교에 나올 수 있었다.

그러나 1년도 채 안 돼 친구는 가족들과 함께 다시 미국으로 떠났다. 학교에는 사고 후유증으로 경미한 뇌장애를 얻게 된 친구를 가르쳐줄 전문교사도, 특수반도 없었기 때문이다. 일반 학급에서 일반 수업을 들으며 진땀을 빼던 친구는 결국 “더 편안 환경에서 제대로 공부하고 싶다”며 이민을 택했다.

장애학생 교육권 보장에 이민 말고는 답이 없던 그 시절로부터 15년도 더 지난 오늘의 현실도 크게 다르지 않다. 여전히 특수학교는 교외 지역에나 있고, 특수학급은 지자체와 학교에 청원을 해도 '효율성'이 떨어지면 개설되지 않는다.

다음 학년에도 장애학생이 없으면, 유휴 부지가 부족하면 소수의 장애학생은 집 앞에 학교를 두고도 다른 도시까지 통학하거나 전문 교육을 받지 못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경제성을 앞세우며 쉽게 앞마당을 내주지 않겠다는 님비를 정당화하는 셈이다.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왜 이런 불편을 겪어야 하죠?” 장애학생의 부모는 물었다. 마치 장애가 죄인 양, 청원해 읍소하고 심사를 받으며 교육권을 보장받기 위해 분투해야 하는 현실이 답답하다고도 했다. 교육 받을 권리는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 권리 중 하나인데도 말이다.

임태희 교육감은 2025년 안성을 시작으로 시흥, 광명, 남양주 등에 특수학교를 설립하고 특수학급 수를 늘리겠다고 밝혔다. 조카가 장애가 있어 장애학생과 가족들의 어려움에 깊이 공감한다는 새 교육감의 의지는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귀추가 주목된다.

/박지혜 경기본사 사회부 기자



관련기사
[현장에서] 교육 백년대계 교육현장에서 '백년대계'는 의미를 잃은 지 오래다. 안타깝게도, 여전히 입시 결과가 절대적 영향을 발휘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백년을 내다보는 계획은 급변하는 사회에 대응하지 못한다 해석되기도 한다.그럼에도 정권이 바뀔 때마다 손바닥 뒤집듯 바뀌는 교육 정책은 우려를 야기한다. 내년부터 본격 추진을 앞두고 있는 IB교육에 대한 염려도 비슷한 맥락에 있다.도교육청은 지난 20일 '2023 경기교육 기본계획 5대 정책별 주요사업'을 발표하고, IB 관심학교 25개교 운영 및 교원 실천역량 강화를 위한 IB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