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재선 인천상공회의소 회장
▲ 심재선 인천상공회의소 회장

9·11 테러, 이라크 전쟁, 금융 위기,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까지 2차 대전 이후 세계 현대사의 굵직한 사건들의 기저에는 모두 석유가 있었다. 그러나 석유를 필두로 하는 화석연료의 과다 사용은 지구온난화를 초래하였고 전 세계에서 기후 이상으로 인한 자연 재해가 발생하게 되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가 2018년 채택한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의 핵심은 현재 전 지구 평균온도가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약 1℃ 상승하였으며, 지구온도가 2℃ 이상 상승하면 더 이상 기후변화의 예측 및 제어가 불가능해지므로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1.5℃로 제한해야 기후변화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수십 년간 석유와 천연가스, 석탄에서 필요한 에너지의 80% 이상을 얻었지만 우리는 지금 에너지 전환의 시대에 들어섰다. 화석연료의 대안으로 태양광, 풍력, 수소 등의 재생에너지가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자연을 이용하는 태양광, 풍력 등은 수요에 따른 조절이 어렵고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다르며 지역마다 편차가 크다는 한계가 있다.

수소는 이러한 제약에서 자유롭고 저장과 수송이 가능해 안정적 공급을 위한 가장 적합한 재생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수소는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막대한 양이 존재하는 무한 에너지이며,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로 지구온난화와 기후 변화를 늦출 수 있는 대안이다. 화석연료는 에너지를 만들면서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만, 수소는 전기를 만들고 부산물로 순수한 물만 남는다.

그러나, 수소경제 사회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 지난 수십 년 간 수많은 정부와 기업들이 수소 에너지 대중화에 엄청난 돈과 열정을 쏟아 부었지만 기술이 뒷받침되지 않아 수소는 여전히 보편적 에너지원이 되지 못했다.

우리 정부는 2019년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 로드맵을 작성하고 2020년 세계 최초로 수소법을 제정하는 등 빠르게 수소 사회로의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인천시 역시 수소산업을 인천의 신성장 동력으로 삼아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에 힘쓰고 있다.

인천은 SK인천석유화학을 통해 연간 3만t의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며 청라에 수소생산 클러스터를 조성해 수소생산기업을 모으고 육성할 예정이다. 또한 수소충전소 확충과 수소를 활용한 분산 전원체계 구축, 수소버스 도입 등 수소의 활용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계획을 갖고 있다.

수소 생산과 활용에 있어서는 대기업과 관 주도로 여러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수소 생태계가 온전히 구축되기 위해서는 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 활용에 이르는 전 주기의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아쉽게도 인천상공회의소의 기업 정보에 따르면 현재 인천에는 수소 관련 기업이 거의 없다. 수소산업이 인천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인천의 중소기업이 참여할 수 있어야 하며, 아직 생태계 조성 초기 단계이다 보니 기업들의 참여 기회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현재의 수소생산 기술을 더욱 친환경적으로 바꾸기 위한 탄소포집 기술 개발과 수전해 기술의 고도화, 저장 및 운송에 필요한 고압 압력용기와 극저온 저장용기, 압력용기 소재에 필요한 탄소섬유, 튜브 트레일러와 액화수소 탱크로리 등 수소경제의 핵심기술, 소재에 인천 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에너지 빈국인 우리나라는 그동안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를 위해 많은 비용을 들여야 했다. 전 지구적인 에너지 전환의 시대에 수소는 우리가 주도하는 에너지 자원이 될 가능성이 크다. 우리 정부와 인천시의 수소경제 로드맵이 순조롭게 이행되어 인천이 수소경제 선도 도시가 되기를 바란다.

/심재선 인천상공회의소 회장



관련기사
[경제칼럼] 반도체 특화단지 최적지, 인천 세계 각국의 자국 반도체 기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지원이 한창이다. 반도체가 미래산업의 핵심 기술이자 패권 경쟁의 중심이 되다 보니 경쟁이 격화된 것이다.우리나라도 지난해 '국가첨단전략산업법'을 제정했다. 반도체 등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를 지정하고 이를 육성하기 위한 내용이다. 반도체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입주기업에 대해 반도체 연구개발(R&D) 예산 및 산업기반시설 우선 지원, 조세 감면 등의 혜택이 제공되고 일자리 증가, 인구 유입 등 지역 경제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반도체 특화단지는 입지, 기반시설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