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2030유입 등 '3대 전략'
소비·체험 중점 이미지 개선
재원 대부분 민간 단위 투자
기업 협조 없이 어려운 구조

“경쟁력 약화와 함께 청년층 기피 현상이 심화되고 있던 인천 노후 산업단지를 시민들이 함께하는 장소로 만들겠습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지난달 25일 열린 '산업문화공간 대개조 업무협약식 및 비전선포식'에서 이같이 말하며 “산업단지의 고유한 기능과 역할을 유지하면서 시민들에게 공간을 개방해야 하는 만큼, 기업의 참여와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박남춘 인천광역시장이 25일 남동구 JPS코스메틱에서 열린 '산업문화공간 대개조 비전 선포식'에서 비전발표를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하고 있다.
박남춘 인천광역시장이 25일 남동구 JPS코스메틱에서 열린 '산업문화공간 대개조 비전 선포식'에서 비전발표를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하고 있다.

▲노후화된 남동산단, 재생 필요해

올해 9월 기준 남동산단엔 모두 7035개 기업이 입주·가동 중으로 이곳에서 일하는 노동자 수는 10만3399명이다.

기업 규모론 전국 국가·일반 산단 가운데 네 번째이며, 서울 구로디지털단지 기업 1만1405개와 경기 시흥·안산으로 묶이는 시화(1만568곳), 반월특수(7541곳) 다음이다.

하지만 남동산단의 가동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수출 호조세를 보인 지난해 12월 기준 남동산단 가동율은 69.8%을 기록해 전국 평균 80.3%를 크게 밑돌았다. 지난해 남동과 부평·주안 국가산단 모두 연평균 가동율도 63.2%로 집계돼 37개 전국 국가 산단 평균 75.8%보다 낮았다.

이에 정부는 노후산단의 문제를 일자리 미스매치 심화, 4차 산업혁명에서의 산단 잠재력 활용 한계 등으로 짚고 지역 주도형 재생 정책에 나섰다. 산단 스마트화와 제조혁신 촉진 등에 따른 일자리 창출, 쾌적한 근로환경 조성에 따른 청년층 유입 등 일자리 매칭, 입지경쟁력을 강화하는 인프라 개선 등 3가지 추진전략이 주를 이룬다.

 

▲복합문화공간 조성 재원 '불확실'

인천시는 정부와 달리 '문화'라는 산단 재생 접근법을 택했다. 시민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소비 공간과 체험 공간 등을 만들어 이미지 개선 자체를 이뤄낸다는 목표다. 오는 2028년까지 3919억원을 투입하고 남동산단을 3개 축, 5가지 특화 구역 등으로 연결하는 계획을 세우는 중이다.

하지만 정작 시가 추진 중인 산업문화공간 대개조 사업은 기존 산단 입주기업들의 협조 없이는 이뤄내기 어려운 구조다. 전체 투입 재원 가운데 대부분인 3175억원가량은 민간기업 단위로 투자돼야 하는 금액이기 때문이다. 시가 내놓은 실행전략안을 보면 교통환경 개선, 산책로·쉼터 조성, 야간 조도 개선 등을 제외한 대부분 사업은 기업의 몫이다.

다만 시는 입주기업에 대한 행정적 지원과 더불어 산단 랜드마크 조성에 대한 정부 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시는 산업문화역사박물관을 신설하고 벤처·창업·소공인 지원시설 설치 등을 추진 중이다. 현재 남동산단 내에 위치한 인천지방중소벤처기업청을 이전하고 남은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시 산업진흥과 관계자는 “아직은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단계로 세부 재원 확보 방안을 지속해서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