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13 지방선거에서 선출된 지방의원들로 구성된 광역 및 기초단체의회가 8일 개원했다. 제4대 지방의회가 공식 출범한 것이다. 이날 출범한 지방의회는 앞으로 4년간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을 견제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새 지방의회를 구성한 지방의원들은 치열한 선거전을 통해 유권자들의 선택을 받았다는 점에서 모두 큰 포부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후회없는 의정활동을 벌이겠다는 다짐 또한 단단하리라 믿는다. 하지만 상당수 지방의회가 의장단 선출을 둘러싼 `감투싸움""을 벌이고 있어 개원을 바라보는 유권자들의 시각이 곱지 않다.
 인천시의회의 경우 다수당인 한나라당이 의장 후보를 내정했으나 일부 의원들이 반발하고 있어 진통이 계속되고 있다. 경기도의회는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상임위원장 배분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한나라당 내부의 경쟁이 치열해 상임위 배정조차 원점으로 돌아갔다. 기초단체의회도 상당수가 의장단 구성을 놓고 과열경쟁을 벌이고 있어 한바탕 전운마저 감돌고 있다.
 물론 지방의원들이 선거에서 선출됐듯이 의장단 선출에도 경쟁이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선의의 경쟁이어야 한다. 정당간, 정파간 편가르기나 알력이 빚어져서는 안된다. 지방의회가 감투싸움을 하고 있다고 유권자들이 생각하는 것은 경쟁 양상이 알력과 편가르기로 비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의장단 선출은 합의 추대 방식이어도 좋고 경선이어도 좋다. 합의가 안 되면 경선을 하는 것이 민주주의 원칙이다. 합의가 어렵다면 경선이 개원 전에 이미 정해졌어야 했다.
 지나친 걱정이겠지만 의장단 구성을 둘러싼 과열 경쟁으로 지방의회 운영이 개원부터 파행을 빚을 거란 우려도 있다. 같은 예로 국회를 들기도 한다. 국회는 지난 5월 말 전반기 의장단 임기가 완료됐으나 의장 선출을 둘러싼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이견으로 후반기 원구성조차 하지 못하다 `식물국회""란 여론에 밀려 8일에야 겨우 의장단을 선출했다. 남의 일이라고 치부해버릴 일은 결코 아니다. 만사 첫 단추가 잘 끼워져야 하기 때문이다. 새 출발한 지방의회들이 의장단 선출을 깔끔하게 마무리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