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특구 등 급변환경 대처할 행정력 시급

 대중국 교역이 급증하고 수도권 지역의 경제특구 지정 등 경기도 주변의 경제여건이 급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경기도가 제대로 행정력을 발휘하지 못해 경쟁력 확보에 상당한 차질이 예상된다.
 도내 기업들은 미국·일본·유럽 등 그동안의 수출입선을 중국이나 싱가포르 등 동아시아 지역으로 바꾸는 등 교역환경의 변화를 꾀하고 있으나, 이들 업체들을 지원하는 도와 산하 경제 관련 기관들은 아직까지 지원체계를 갖추지 않아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경기도와 한국무역협회 경기지부 등에 따르면 도내 기업들이 올 들어 5월말 현재 중국으로 수출한 액수는 18억1천5백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39.7%가 늘어나는 등 매년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정부는 송도매립지, 인천국제공항 주변지역, 동아매립지 등 수도권 일부 지역을 경제특구로 지정, 2020년까지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지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같은 수도권 지역의 경제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인천광역시의 경우 4~5년 전부터 국제통상과의 업무를 중국 중심으로 개편, 중국에 대한 노하우를 쌓아가고 있다.
 인천과 교류가 잦은 톈진(天津)과 단둥(丹東)에 대표처를 두고 4명의 직원을 파견,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행정교류를 펼치는가 하면 인천항을 끼고 있는 중구는 웨이하이(威海)에 대표처를 설치해 운영중이다.
 싱크탱크 역할을 하는 인천발전연구원에는 한중교류센터를 만들어 팀장을 포함한 5명의 직원들이 수시로 중국을 드나들면서 다양한 지식을 쌓아 교류에 성공하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인천상공회의소도 화교 출신의 전문인력을 채용, 중국과 교역하는 업체들에 신용장을 작성해 주거나 투자상담을 맡는 등 관내 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대중국 교역항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평택항을 끼고 있는 경기도는 중국과 관련한 전담부서가 전무한 상태다. 자매도시인 랴오닝성(遼寧省) 등에 어학연수를 하는 교환 공무원만 파견했을 뿐 출장소 성격을 띤 사무실 개설은 하지 않아 다양한 정보수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이나 경기도경제단체연합회 등에도 중국 관련 부서가 전혀 설치되지 않은데다 전문인력도 전혀 없는 실정이다. 다만 경기신용보증재단이 중국에 투자하는 회원사들이 늘어나면서 개설 준비중인 평택 소재 남부지점에 중국 전담부서를 둘 예정이다.
 경기대 서비스경영전문대 신태호 교수는 “국내외 물류가 중국 중심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오면서 경기도내 물류의 중국 비중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면서 “도와 경기개발연구원, 경제 관련 기관, 단체들도 중국 관련 전담부서를 설치해 기업들에 대한 다양한 지원업무를 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원기자〉
kyuwon@incheo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