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행동학적 모델 안에서 치료사들의 역할은 긍정적인 행동이 충족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부정적 행동을 강화시키는 요소들을 줄이는 것이다. 이런 과정 안에서 행동학적 치료사들은 대상자들의 현재 행동을 평가하고 문제적 행동들을 정의하며 그 정도를 기록한다.

그런 후 대상자들의 행동을 어떤 방법으로 수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과정을 밟는다. 예를 들면 만약 한 아이가 쉽게 집중을 못할 때, 치료사는 그 아이가 잠시라도 집중하거나 그룹 활동에 적극적 참여하는 순간을 놓치지 않고 바로 칭찬(혹은 의미 있는 보상)함으로 그 행동에 대한 긍정적 강화를 시키는 것이다.

행동학적 접근법은 매우 다양한데 효과적 치료의 중심은 대상자들에게 진심으로 의미 있는 보상을 찾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칭찬에 잘 반응하고, 어떤 대상자들은 좋아하는 취미나 게임으로 시간을 보내는 것을 더 선호하기도 한다. 또한 돈이나 음식 같은 가장 본성적인 보상을 요구하는 사람들도 있다.

행동학적 프로그램에는 여러 가지 보상들이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그 중 음악치료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가장 특별한 보상 도구는 음악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음악은 범우주적이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에게는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의 장르들이 있고, 음악 활동 자체가 즐거운 일이며 그렇기 때문에 음악을 듣고 활동에 참여하는 일들이 치료적으로 요구되는 행동들로 바뀌어지는데 도움이 되는 보상으로 사용된다.

다음은 대상자에게 의미 있는 보상이 되었던 음악의 성공적 행동치료 사례다. J는 분노조절 장애 행동으로 인해 일반학교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없는 관계로 대안학교를 다니고 있었다. 학교생활 중 J는 수학 숙제를 거부하기 시작했는데 그 이유는 그냥 지루하기 때문이라고 했지만 사실은 그 숙제가 너무 힘들었고, 숙제를 못했을 때 놀림당할까봐 두려움에 변명을 한 것이었다.

언제나 숙제는 뒷전이고 게임에만 빠져있던 J를 유심히 관찰하던 선생님은 J가 음악을 너무 좋아한다는 사실은 알게 되면서 한 가지 제안을 했다. 만약 수업 시간 동안에 아무런 문제행동을 일으키지 않고 수학 숙제를 마친다면, 그때마다 점수를 주고 그 점수가 정해진 만큼 쌓이게 되면, 학교의 음악치료 선생님께 개인 기타 레슨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J는 기타를 너무 배우고 싶어 했기 때문에 제안을 받아들였고 음악치료사는 J에게 기타를 가르침과 동시에 음악을 통한 올바른 감정 표현과 사회적 매너를 경험케 하였으며 어떻게 현실적 목표를 잘 세우고 학습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행동학적 음악치료를 실행했다. J는 기타 수업에서 만큼은 문제행동을 일으키지 않았기 때문에 이 방법을 일반 수업에도 적용하게 되면서 수업의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행동학적 치료의 사용 범위는 비사회적 행동, 사회성 저하, 미숙한 소통, 수동적이고 비생산적인 관계형성 등을 포함해 다양하며 특히 음악적 행동치료는 매우 융통성이 있고 남녀노소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행동치료 모델로 사용되고 있다.

 

/김윤정 음악치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