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서구·주민대표 협의체 가동 불구
유력 이주지역은 아파트 건설 어렵고
건폐장 소유권 등 얽혀 이전에 난항
▲ 인천시 서구 왕길동 사월마을 이주와 환경개선 논의가 재개됐지만 주변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장과 환경오염 유발 업체로 난항이 예상된다. /인천일보DB

인천시 서구 왕길동 사월마을 이주를 포함한 주변 환경개선사업이 장기화 조짐을 보인다. 이주는 옮길 대상 지역을 찾기가 만만치 않고, 환경개선의 뼈대인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사업장처리 문제도 이해관계가 얽히고설켜 해결이 쉽지 않다.

인천시는 사월마을 이주를 포함한 주변 환경개선을 위해 서구와 주민대표, 환경단체 등으로 구성된 논의 구조를 가동 중이라고 27일 밝혔다.

당초 이주를 전제로 협의체를 가동했으나 민간 특례사업인 중앙공원 내 아파트 건설사업이 무산되자 사월마을 현지 도시개발 사업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사월마을의 주변 환경이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장과 제조업 시설 등으로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다시 이주 쪽으로 방향을 돌려 관계 기관과 주민이 논의하고 있다.

국립환경연구원 2017년과 2019년 두 차례에 걸쳐 사월마을과 주민들을 상대로 건강영향조사를 벌였다. 2017년 2월 사월마을 건강영향조사 청원이 접수돼 환경부의 승인에 따른 것이었다. 연구원 측은 사월마을의 환경오염은 기준치 이하이지만 주거 환경이 부적합하다는 의견을 내놓고 이주를 권고했다.

주민건강 조사에서는 7명이 암 환자로 암발병률 7%에 달했다. 최근에는 8년 동안 호흡기 질환을 앓던 주민이 8년의 투병생활 끝에 사망했다. 서구는 2억1400만원(국비 1500만원·구비 6400만원)을 투입해 사월마을 주민(52세대 125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8일까지 1년 동안 건강조사를 했다.

사월마을 주민들이 종전 현지 도시개발에서 이주 입장으로 돌아서자, 인천시와 서구는 난감한 모양새다. 이주대책으로 유력하게 떠오르던 중앙공원 민간특례사업(왕길동 산14-1 일원 60만5733㎡ 내 2293세대)의 무산되자 사월마을 주민들을 이주시킬 곳이 마땅치 않다. 중앙공원 조성사업은 인천시 재정사업으로 추진돼 아파트를 짓지 않는다.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장 등 주변 환경개선 사업도 만만치 않다. 사월마을 턱밑에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 3개 사의 건설폐기물과 순환골재 683만2000여㎥가 쌓여있다. 1997년부터 적치된 건설폐기물과 순환골재는 허가 구역 밖 구역(35만9268㎥)에 쌓여있어 불법 적재물로 분류된다.

건설폐기물과 순환골재의 소유자나 권한자, 적치된 땅 주인들이 모두 달라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이 서로 합의하지 않는 한 처리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 2005년부터 지금까지 외부로 반출된 건설폐기물과 순환골재가 910만㎥ 중 227만㎥에 불과한 이유다. 사월마을 주변에는 건설폐기물을 비롯해 폐기물처리업, 제조업 등 153곳의 업체가 가동 중이어서 환경개선이 어렵다.

사월마을 한 주민은 “인천시가 이주대상지였던 중앙공원 민간특례사업을 재정사업으로 돌려 이주할 수 없도록 했다”며 “인천시가 사월마을 이주를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주는 당장 끌어낼 수 있는 사안은 아니고 장기적으로 고민해야 할 문제이다”라며 “일단 주변 환경개선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박정환 기자 hi2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