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도내 교육∙복지시설 중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는 221곳을 대상으로 수질검사를 한 결과 부적합 시설이 25곳(11.3%)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시설에서는 수차례 점검과 개선 명령을 받았음에도 기준치의 수십 배가 넘는 세균과 대장균군이 검출됐다.

이재영 도 수자원본부장은 21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경기도 교육·복지 음용 지하수 시설 수질검사 결과’를 발표했다.

도에 따르면 도내 1004곳의 교육∙복지시설에서 지하수를 식수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 중 음용 시설은 221곳이다. 도는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이곳을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쳐 도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 전수 정밀 수질검사를 진행했다.

지난 2019년 인천을 발칵 뒤집은 붉은 수돗물 사태를 교훈 삼아 선제적으로 대응하라는 이재명 경기지사의 지시에 따른 조치다.

이번 검사는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분원성대장균군, 질산성질소, 암모니아성질소, 과망간산칼륨소비량 등 총 6개 항목으로 진행됐다.

1차 수질검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채수불가(시설개방 거부) 및 비음용 전환시설 35개소를 제외하고 186개소를 채수해 검사했고, 59개소가 총대장균군 등 검출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에 대해 도는 해당 시∙군 도움을 받아 음용 중지 및 시설개선명령 조치를 내렸다.

2차 수질검사에서는 1차 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59개 시설과 1차 검사 당시 채수를 하지 못했던 21개 시설 등 총 80개소 중 비음용 시설로 전환되거나 코로나19로 시설을 개방하지 않은 17개소를 제외한 63개소를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했다. 이 중 31개소가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이에 대해 시설개선명령 조치와 함께 한국환경공단에 기술 지원을 요청해 시설에 대한 염소소독기 및 살균기 설치 등 시설개선과 전반적인 컨설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3차 수질검사는 2차 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31개 시설과 1∙2차 검사당시 코로나19로 채수를 하지 못했던 7개소 등 총 38개 시설 중 비음용 시설로 전환된 3개소를 제외한 35개소를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최종 25개소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주요 사례를 살펴보면 안성시에 있는 한 어린이집에서는 1∙2차 부적합 판정을 받은 뒤 3차에서도 실내수도꼭지(원수)에서 질산성질소가 초과 검출됐다. 또한 실내 정수기에서도 일반세균이 기준치보다 38배 이상 나와 최종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양평군의 노인복지시설에서도 1~3차에서 모두 기준치가 넘는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검출됐다.

도는 최종 부적합 시설 25곳에 대해 즉시 음용 중지 후 원수 부적합시설에 대해서는 주변환경정비, 관정청소, 시설소독 등 개선 조치하고, 정수 부적합시설은 생수 사용, 정수기 점검 등의 조치를 하도록 시·군에 통보했다고 설명했다.

이 본부장은 “이번 전수검사는 어린이, 노인 등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시설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먹는 물은 도민건강과 안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취약계층이 믿고 마실 수 있는 공공 지하수 공급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임태환 기자 imsens@incheonilbo.com